
중학생이 지각하는 친구관계와 부모 양육태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riend Relationships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Agg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친구관계와 부모 양육태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알아보고 그를 토대로 대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생 2,38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2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친구관계 중에서는 부정적 친구관계가 공격성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부모의 양육태도 중에서는 부모의 비일관성과 거부가 공격성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따스함이 공격성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하면 부정적 친구관계가 부모의 양육태도 변수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학생 시기가 부모보다 친구와의 관계형성과 유지를 더욱 중시하는 경향과 무관치 않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중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친구와의 부정적 관계 해소 프로그램,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 개선 프로그램이 절실하며 이를 위해 예산지급 방법의 개선 등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을 실질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자치경찰제 출범 1년여에 비춰 자치단체 및 지역사회 청소년 전문단체와 협조하여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회복적 경찰활동을 전개하는 방안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friend relationships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aggression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to find countermeasures based on them. To this end, this study used data from 2,384 freshmen in middle school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etween friend relationships, negative friend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aggression, and among parental rearing attitudes, parental inconsistency and rej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aggression, and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warm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in aggression. Comparing the size of effects, it was found that negative friend relationships were larger than parental rearing attitude variables, and it is not irrelevant to the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value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with friends more than pare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argue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 program to resolv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improve parental rearing attitudes is urgently needed, and to this end,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should be substantiated by improving the budget payment method. In addition, it's been more than a year sin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launched, it was also suggested to conduct restorative justice in the police stages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youth organizat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와 함의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