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디지털시대, 상실된 감각의 니체적 회복과 감각철학상담

In the Digital Age, Nietzschean Recovery and Sensory-Philosophical Counseling of Lost Senses

2020년대를 전후로 한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사이에 발생한 특이점으로 인해 강화된 디지털 나르시스의 탈대지화와 탈신체화는 2010년을 전후로 나타 난 성과주체의 피로나 과로와 중층적 결합을 전제하고 있다. 성과주체는 디지털 혁명 속에서 사라진 것이 아니라 디지털 혁명 속에 공존한다. 비대면 학습과 업 무에 노출된 디지털 주체는 여전히 성과에 대한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지 않 았다. 그리하여 오프라인 활동을 지배하던 성과주체적 요인은 온라인 활동에서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피로담론은 디지털담론 속에서도 여전히 유의미하다. 일상에서 디지털주체와 성과주체의 공존은 피로와 과로(소진) 그 이후 증상 에 대한 주목을 요청한다. 디지털 나르시스와 성과주체를 합체(접목)한 대상 분 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양자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사고활동과 오감활동의 상 관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논자는 2장에서 디지털 주체 나 성과주체의 삶에서 발생하는 탈-접촉성의 문제를 ‘접촉적 과민성(공주와 완 두콩 신드롬)’ 그리고 ‘만짐&만져짐의 소멸로서 고립과 고독’을 통해서 살펴보 고, 3장에서 접촉적 듣기와 감각 프락시스를 통해서 감각 회복적 철학상담 방법 을 제시해본다. 이를 통하여 감각적 철학상담이 디지털 나르시스와 성과주체의 병리적 일상을 건강하게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The de-earthrization and de-bodyization of digital narcissism, which were strengthened by the peculiarities that occurred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presupposes a double-layered combination with fatigue or overwork of achievement-subjects around 2010. The performance- subject did not disappear in the digital revolution, but coexists in the digital revolution. The digital subject of non-face-to-face learning and work is still not free from pressure on achievement. Thus, the achievement-subjective factor that dominated offline activities still exists in online activities. Therefore, fatigue discourse is still significant in digital discourse. In our daily lives, the coexistence of the digital subject and the performance subject requests attention to the symptoms after fatigue and overwork. A target analysis that combines digital narcissism and performance subjects is needed. In addition, attention is need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inking and five sensory activities as penetrating both. In this context, in Chapter 2, the writer examines the problem of de-contact in the lives of digital subjects or performance subjects through ‘contactive hypersensitivity (princess and pea syndrome)’ and ‘isolation and solitude as the extinction of Touching & Being touched,’ and in Chapter 3 presents a sensory restorative philosophical counseling method through contactive listening and sensory praxis. Through this, we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sensory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restore the pathological daily life of digital narcissism and performance-subjects in a healthy manner.

1. 도 입

2. 디지털 주체와 성과주체의 삶의 탈-접촉성

3. 접촉적 듣기와 감각 프락시스를 통한 감각 회복적 철학상담 방법

4. 마무리: 마비되어 무감각해진 감각의 회복을 향하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