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토양에서 볏짚퇴비량에 따른 벼 생육 및 토양 특성 평가
Evaluation of Rice Straw Compost on Rice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Paddy Soil
- 유기성자원학회
-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
2022.10109 - 109 (1 pages)
- 28

논 토양에서 퇴비 등 유기물의 시용은 토양 유기물 함량증가, 벼의 양분공급, 토양 이화학성의개선 등 이점이 있다. 하지만 과도한 유기물 시용은 유해물질의 생성, 양분흡수 저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볏짚퇴비량에 따라 벼 생육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적정퇴비량 투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처리내용은 무처리, NPK(N-P2O5-K2O:110-70-80 kg ha-1), NPK+퇴비 7.5 Mg ha-1(NPKC7.5), NPK+퇴비 15 Mg ha-1(NPKC15), NPK+퇴비 22.5 Mg ha-1(NPKC22.5), NPK+퇴비 30 Mg ha-1(NPKC30)로 총 6개 처리구로 시험하였다. 토양화학성은 pH, EC,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을, 식물체는 생체중량, 건물중량, 무기성분 함량(N, P, K)을 분석하였다. 벼(삼광) 재배 결과, 생산량은 NPKC22.5(955 kg 10a-1) > NPKC30(924 kg 10a-1) ≒ NPKC15(894 kg 10a-1) > NPKC7.5(876 kg 10a-1) > NPK(777 kg 10a-1) > 무처리(361 kg 10a-1) 순이었다. 식물체양분흡수량 분석 결과, 질소함량과 칼리함량은 NPK에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들과 통계적으로유의성이 없었으며, 인산함량은 NPKC7.5 처리에서 높았다. 시험 후 토양화학성은 pH는 무처리, EC 는 NPKC22.5, 유기물함량과 유효인산은 NPKC30에서 가장 높았다. 이에, 무기질비료와 퇴비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작물 생육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농경지 관리를 위한 적합한 퇴비 투입량의 기준제시를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