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4 No.5.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DOI : 10.37727/jkdas.2022.24.5.1865
  • 22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년 학생이며, SPSS/PC+ ver. 2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은 5점 만점에 3.03점, 셀프리더십은 3.50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3.58점, 회복탄력성은 3.69점, 진로정체감은 3.3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성별, 학년, 성적, 건강상태,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분석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셀프리더십(r=.374, p<.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344, p<.01), 회복탄력성(r=.331, p<.01), 진로정체감(r=.356, p<.01) 등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모형의 설명력은 48.9%,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적(β=.347, p<.001), 셀프리더십(β=.338, p<.001), 학년(β=.307, p<.001), 진로정체감(β=.208, p<.001)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년, 성적 등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셀프리더십과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이면서도 포괄적인 교육시스템 구축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Method: In this research 258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data analysis. Resul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like grade and academic record.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explanation ability of model was 48.9%, the influencing amount of facto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academic record, self-leadership, grade, career-identity in order. Conclusions: Self-leadership and career-identity had positively influenced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o improving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diverse programs would be necessary for promoting self-leadership and career-identity level,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grade and academic recor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