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노인 인지기능의 영향요인
인구통계학적, 사회·심리적, 신체적, 건강관련행위 특성을 중심으로
- 백원희(Wonhee Baek) 김두리(Doo ree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4 No.5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10
- 1893 - 1906 (1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제7, 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이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나이가 증가할수록(β= -0.24, p<.001), 고등학교 졸업 이상 학력에 비해 중학교 졸업 이하 학력자일수록(β= -1.05, p<.001), 우울할수록(β= -0.26, p<.001) 인지기능 감소를 보였으며, 여성보다 남성이 (β= 0.97, p<.001), 배우자가 있을수록(β= 0.52, p<.001), 사회활동이 많을수록(β= 0.23,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β= 0.97, p<.001), 규칙적으로 운동한 기간이 길수록(β= 0.21, p<.001)인지기능 증가를 보였다. 이에 대한 영향요인변수의 최종 설명력은 42.44%이었다(Adjusted R2=42.1; p<.001).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 신체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을 보정하였을 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하여 3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유지한 모든 대상자의 인지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추후,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향상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대상자가 꾸준히 지속해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의 형태 및 종류, 강도를 고려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people. This study was performed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7th and 8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more age(β= -0.24, p< .001); lower education(β= -1.05, p<.001); and more depression(β= -0.26, p<.001) were all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greater risk of cognitive dysfunction. In addition, male sex(β= 0.97, p<.001); having a spouse(β= 0.52, p< .001); more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β = 0.97, p< .001), regular exercise(β= 0.21, p<.001) were all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cognitive dysfunction. Moreover, when demographic, psycho-social, physical,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adjusted, the cognitive function of participants who exercised regularly for more than 2 years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exercise regularly. Therefore, in the future, when developing a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older peopl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onsiders the type, and intensity of exercise that the subject can exercise continuously.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