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영건강보험의 현물급부에 대한 소비자 이용의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Consumer Use of In-kind Benefi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Focus on Housekeeper Services for Patients with Surgery, Cancer,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4 No.5
- : KCI등재
- 2022.10
- 2037 - 2049 (13 pages)
본 연구는 수술, 암, 심뇌혈관질환진단 경험자를 대상으로 가사도우미 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75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수술경험자 250명(N=250), 암진단 경험자 280명(N=280), 심뇌혈관질환진단 경험자 226명(N=226)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분석결과 수술경험자의 가사도우미 이용에는 수술 사유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상해로 인한 수술이 질병인 경우보다 가사도우미를 이용할 가능성이 2.8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진단 경험자의 가사도우미 이용에는 암 전이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암 전이가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가사도우미를 이용할 가능성이 3.05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뇌혈관질환진단 경험자의 가사도우미 이용에는 치료받은 종류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치료받은 종류가 1단위 증가할 때 가사도우미를 이용할 가능성이 2.043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민영보험상품의 현물급부를 상품화하거나 마케팅 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가사도우미 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한 민영보험의 사회안전망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housekeepers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surgery, cancer,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Research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756 people, specifically, 250 surgery patients (N=250), 280 cancer patients(N=280), and 226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patients(N=22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ason for surgery is the biggest influencing factor in the use of housekeepers for surgery patients. In the case of surgery due to an injury, the likelihood of using a housekeeper was 2.832 times higher than when the cause of the operation was a disease. Cancer metastasi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use of housekeepers for cancer patients. Those with metastases were found to be 3.052 times more likely to use a housekeeper than those without metastases. The type of treatment is the biggest influencing factor on the use of housekeepers in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patients. When the number of treated types increased by 1, the likelihood of using a housekeeper was 2.043 times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in the marketing or product development of in-kind benefit products. It is thought that private insurance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by activating the housekeeper service.
1. 서론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