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수운 최제우의 정치사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최제우의 정치사상을 다루기 위해 우선 그의 세계관 중 문명관과 역사관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았다. 그의 문명관은 기존의 유불도를 부정하고 민족고유의 주체적인 문명관을 기초하고 있다. 그의 역사관은 순환론적인 역사관을 기초로 해서 당시의 시대적 조류였던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관을 토대로 하여 그는 자신의 정치사상을 전개하고 있는데, 첫째가 민중론이다. 민중론을 통해 수운은 그 동안 역사의 객체로 소외되던 민중의 새로운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즉 민중론에서는 민중의 개체성에 대한 존중을 통해 역사와 정치에서 민중의 역할을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반봉건론을 지적할 수 있다. 반봉건론은 신분제와 세습군주제를 기초한 조선조 봉건체제를 부정하는 논리로 당시 일반 민중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셋째, 반침략론을 지적할 수 있다. 여기서 반침략론이란 부당하고 침략적인 외세에 대해 반대하는 논리로서 자연스럽게 반제국주의와 일맥상통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넷째, 최제우의 정치사상으로 개벽론을 지적할 수 있다. 개벽론은 최제우의 이상국가론으로 도성덕립(道成德立)의 이상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든 갈등과 분쟁이 사라지고 참다운 평등의 원리가 실현된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This thesis analyses the political thought of Suwoon, Chae Je Woo in depth. For sake of treating the political thought of Chae Je Woo, I examines the view of civilization and history among the view of the world. His view of civilization is in denying existing yu-bul-do(儒彿道) and is based on the ethnic independent view of civilization. His view of history moves toward the direction of anti-imprialism on the basis of the circular view of history. On the basis of this view of the world, he developes his political thought. Firstly, it is a theory of peoples(民衆). He emphasized the new role of peoples that is treated distantly by politics and history. Secondly, it is a theory of anti-feudalism. A anti-feudalism is a logic denying the Joseon Dynasty based on a rigid caste system and a hereditary monarchy. Thirdly, it is a theory of anti-invasion. The theory of anti-invasion ia a logic denying the aggressive foreign power. It is being linked to a anti-imperialism. Finally, I points out a theory of Gaebuk(開闢) as the political thought of Chae Je Woo
Ⅰ. 서론(문제의 제기)
Ⅱ. 최제우의 기본적인 세계관
Ⅲ. 최제우의 정치사상의 내용
Ⅳ. 최제우의 정치사상의 의미와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