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옥 의사는 항일 구국투쟁에 올인 하며 34세의 짧은 생애를 살았다. 그는 죽기를 각오하고 온 몸으로 일제에 항거한 민족영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항일투쟁 활약상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물론, 그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자료의 부족에서 기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열단 활동을 비롯하여, 김상옥 의사가 행한 항일 독립투쟁 방략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그가 행한 행적들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노력은 그에 대한 기억을 새롭게 할 것이고, 그를 나라사랑의 롤 모델로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어떤 나라든 간에 나라사랑정신의 함양을 위하여 민족영웅을 ‘기억의 정치’ 차원에서 적극 활용한다. 그러한 노력은 국민통합을 이루는 데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에서 김 의사의 항일투쟁 행적에 대한 깊은 연구를 위한 자료 발굴과 더불어 그와 관련된 독립운동사적지 복원에 힘써야 마땅하다.
Kim Sang-Ohk lived a short life of 34 years, devoted to the anti-Japanese national salvation struggle. He is national hero, who confronted, in spite of death, the Japanese imperialists. Nevertheless, his action part in the anti-Japanese struggle has been relatively undervalued. Of course, one of the biggest reasons is due to the lack of research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ell the meaning of his achievements, looking deep into his strategies to anti-Japanese struggle for national independence, including his activity of uiyeoldan(a resistance group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effort will renew the memory of him, and it will contribute to making him a role model of patriotism. All countries utilize a national hero in the point of view of ‘politics of memory’, in oder to foster the patriotism. Because such efforts are useful for the national integration. Just, in this regard, in addition to the excavation of materials for the deep research about Kim’s acts of anti-Japanese struggle, we have to restore his historical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which are related to him.
Ⅰ. 들어가며
Ⅱ. 김상옥의 생애와 구국투쟁
Ⅲ. 김상옥 의사의 구국투쟁활동의 의미
Ⅳ. 나오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