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2장 월남 이상재의 민족운동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월남 이상재의 민족운동을 분석한 것이다. 이상재의 민족운동은 기독교에 입교하기 전후를 기점으로 민권에 바탕한 자립과 자강운동에서 정신적 도덕력(道德力)을 바탕한 비폭력・무저항 혁명으로 전이하고 있다. 자립과 자강의 민족운동은 그가 독립협회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가졌던 신념인데 반해, YMCA에서 활동하던 시기에는 기독교의 정신적 도덕력을 확대하려는 민족운동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에 있어 이러한 논리적 변환은 외형적인 근대문명의 힘이 내면적인 도덕력을 갖추지 못하면 아무런 쓸모가 없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구한말 국권회복을 위해 정치개혁의 한계와 일제의 침략적인 근대문명을 통해 이를 인식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에 있어 민족운동은 정신적 도덕력이 자연적으로 외연(外延)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YMCA 활동에서 보여 준 기독교 청년교육과 애국계몽운동은 이러한 방법론의 일환일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national movements of Weolnam Lee Sang-jae. His movements shifted from self-reliance and strenuous efforts on the basis of civil rights to a nonviolent and nonresistant revolution rooted in spiritual morality at the time before and after his entering into Christianity. While the national movements of self-reliance and strenuous efforts were based on the belief he had when he worked for the Independence Club, the national movements to expand Christian spiritual power of morality were started when he worked for YMCA. Such logical conversion resulted from his perspective that the external power of modern civilization not equipped with internal morality was absolutely useless. He seems to have recognized this viewpoint through the limits of political reform to recover national sovereignty and Japanese modern civilization used in its invasion of Korea. Thus, his national movements aimed at forming an environment where spiritual power of morality naturally extended.

Ⅰ. 서론(문제의 제기)

Ⅱ. 월남 이상재의 생애와 사상

Ⅲ. 독립협회에서의 민족운동: 자립과 자수

Ⅳ. YMCA에서의 민족운동: 비폭력・무저항 혁명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