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4장 동다송(東茶頌)의 양생관(養生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ang-seng of the the Dongdasong(東茶頌)

  • 25

본 논문은 한국의 다도고전인『동다송』을 중심으로 하여 동다송에 담겨져 있는 여러 사상 중에서 양생관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연구하였다. 양생은 고대에서 지금까지 인류의 문화발전과 더불어 꾸준히 발전되어 내려왔다. 양생은 현대 사회에서 수명 연장과 무병장수의 타이틀이라는 이름하에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전 인류가 심신의 건강을 꿈꾸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것은 웰빙(welling)이라는 시대적인 신조어를 탄생시켰으며 단순히 먹고 마시는 일에 치중하는 것이 아닌 좀 더 나은 삶을 향해 추구해 나가는 것이다. 동다송의 양생관은 동다송에서 언급하고 있는 차(茶)에 관한 고사나 설화, 내용을 바탕으로 양생에 대한 것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차를 우리가 마시는 단순한 음료에 국한 되는 먹거리 등으로 치중해서는 양생관에 근접할 수 없다. 동다송에서는 차는 하나의 사물과 나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깊은 의미를 가지고 심도 있게 나타내고 있다. 차의 양생적인 면을 정, 기, 신의 조화로움으로 말하고 있고 수양을 통한 덕성의 함양을 쌓아야 되는 것임을 명시 하고 있다. 차를 마시면 불생불로에 접근하게 된다는 점에서 초월적인 자유를 얻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동다송의 양생관은 차의 효능과 차가 지니고 있는 치료의 개념과 더불어 정신적인 수양을 함께 쌓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하루아침에 쌓을 수는 없다. 꾸준한 자기의 자아성찰이 절실히 요구되는 일이다. 이러한 동다송의 양생관은 현대의 우리들에게 많은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thesis is researched Yang-seng representation of Korea's classic dado 'Dongdasong'. Yang-seng is one of important thinking of the Dongdasong. It is derived from human's culture of development from ancient time to now. This is researched life-lengthen, longevity steadily in modern society - It is natural that All human want to health. It comes into new word 'well-being' and pursuits not only abundance but also better life. Dongdasong's Yang-seng is mentioning ritual, classic and tale about tea in depth study. It is inaccessible that we think about tea as simple drinking or snack. Tea represents the middle concept of human and object as deep means. This appears harmony of Jung, Gi, and Sin. This also suggests that cultivating moral virtues through discipline-improvement. It is reasonable that we acquire wellness and liberty whenever we drink tea. Dongdasong's Yang-seng is also mentioning about tea's effect and concept of care, and mental improvement. It is not to be done in a day. It requires some time for steady introspection. Be as follows, Dongdasong's Yang-seng thinking is full of suggestions to us.

Ⅰ. 서론(문제 제기)

Ⅱ. 동다송(東茶頌)의 내용분석에 대한 분류

Ⅲ. 동다송의 양생(養生)관

Ⅳ. 동다송에 나타난 양생관의 현대적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