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주체성문제를 다룬 것이다. 한국사상의 주체성 문제는 한국사상의 고유성에 대한 진위여부와 직결되어 있는 문제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한국사상의 본질에 대해 다루어 보았다. 이를 기초로 해서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를 분석하였다.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는 한국사상의 본질적 특징으로 인해 사실 문제로서 취급당할 하등의 이유가 없음을 우리는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는 서구, 중국 및 인동 등으로 대별되는 외래사조에 조금도 한국사상이 열등적인 면이 없고 오히려 보다 더 포괄성과 보편성과 합리성을 지니고 있기에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한국사상에 대한 깊은 자부심으로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를 일단락 짓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해서 한국사상과 철학의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첫째는 우리 사상에의 자부심과 믿음을 통해 외래사조에의 무조건적인 무비판주의, 맹신주의, 사대주의에서 벗어나 우리 사상과 철학에의 새로운 창조적인 탐구가 필요하다는 점이고 둘째는 한국사상과 철학이 세계사상계와 철학계의 중심 내지 선두가 되어야 한다는 사명감과 책임감을 다지고 마지막으로 한국사상의 전범을 만드는 일에 전념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on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Korean thought’s uniqueness. Therefore, this study has treated with the essence of Korean thought. On this basis, I have analysed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I thjnk that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as the essence of Korean thoughts can’t come into existence as a problem. Because the Korean thoughts have the diversity, universality and rationality compared to the foreign thoughts. In this respect, I assert that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is concluded with the self-respect of Korean thoughts. And on this basis, I have maked mention of the direction and task of the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First, I have suggested the new creative research for the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with the trust and self-respect of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And I have suggested that we must escaped from the unconditional, uncritical, blind trusting and obsequious principles. Second, I have proposed that we have the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a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must lead the worldwide thought and philosophy. Finally, I have indicated that we dedicate our best efforts to making the classic of the Korean thought.
Ⅰ. 서론(문제의 제기)
Ⅱ. 주체와 주체성문제의 본질
Ⅲ. 한국사상의 주체성문제
Ⅳ. 한국사상 연구의 과제와 지향점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