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통일의 당위성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지만, 인식적 차원에서는 여전히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통일에 대한 잠재능력을 가진 대학생들은 통일문제에 대해서 소극적, 비관적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본 논문의 문제제기를 할 수 있다. 여기에 우리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을 고려해야하는 중첩적 상황까지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환경에서는 통일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민족주의를 강조하여 진행되는 상황이고, 다양한 인구의 증가는 다문화주의라는 새로운 전환적 이념을 요구해야 한다. 언뜻 두 이념은 대립의 구도로 비춰질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내부적 통합을 위한 기본적 이데올로기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국가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통일과 통합을 위한 과정으로써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강조하면서 두 이념 중 더 나은 것을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공존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이를 대학 내 통일교육의 새로운 이념으로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를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분석의 시도들, 단일화와 다양화, 고유성과 보편성을 검토ㆍ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공존할 수 있는 특성으로 선후관계성, 상호교환성, 상호결합성을 가진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에게 북한의 인권문제를 감성적 차원의 민족적 공감대를 도출하여 통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문화이해지를 통해서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객관적 사실에 입각하여 동질성을 회복한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로 하여금 북한 및 통일문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 유발하여 사회 통합의 기초를 마련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문화된 새로운 통일환경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It is constantly asking for unity in our society, but our perception is still seems indifferent attitude.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are recognized to have pessimistic and passive about unification. Also, our society has to think about the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Now the unific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nd emphasized the nationalist and the increase of a diverse population requires a new transitional ideology of multiculturalism. Confirming the composition of the opposition of two things, but in a common internal integration can be used as a default ideology. We solve the national problems of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rather than choosing one of the co-existence to seek the possibility as for processing unification and integration. Based on this, a new ideology of education applied unity at the university.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t find out coexistence between unification, diversification and peculiarity, universality. As a result, it can be the order relation, interchange ability, cross binding. University students to get a national consensus on the emotional issu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y strive toward recovering homogeneity for understanding rightly North Korea and the objective facts from cultural assimilator. And the conclude, the university students arouse there interest and concerned about North Korea and Unification. For this reason, we can expect to participate actively and positively in the multiculture-new unified environment as based on integration of society.
Ⅰ. 서론
Ⅱ. 통일을 위한 민족주의로의 접근성 모색
Ⅲ. 통합을 위한 다문화주의로의 접근성 모색
Ⅳ. 통일로써의 민족주의와 통합으로써의 다문화주의의 공존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