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3장 동다송(東茶頌)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man being’s View of Dongdasong(東茶頌)

  • 24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다서인 동다송의 인간관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동다송에 대한 연구는 많이 축적되어 있지만 순수철학적인 차원에서 연구된 것은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동다송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동다송의 세계관에 대한 연구가 전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세계관은 사상과 철학의 토대이자 기초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논문은 동다송의 세계관 중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인간관을 철학적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동다송의 인간관을 분석하기 전에 우선 동다송에 대한 기본인식을 다루어보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동다송의 인간관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동다송의 인간관은 우선 초월적 인간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다송에서 말하는 인간관은 현실을 기초로 한 초월적 인간을 추구하는 인간관을 설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동다송의 인간관은 자타일체적 인간관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는 다도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일체화된 관계로 재탄생해야 한다는 것이 동다송에 나타난 자타일체적 인간관의 구체적인 모습이다. 마지막으로 동다송의 인간관은 조화적 인간관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여기서 조화적 인간관이란 나를 둘러산 외부의 일체의 것과의 조화를 의미한다.

This study is on the view of human being in the Dongdasong(東茶頌). Until now, the pure philosophical study on the Dongdasong is not great. To study 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Dongdasong is a prerequisite for the study on the world view of Dongdasong. Because the world view is the basis and foundation of thought and philosophy. Under this recognition, this thesis classifies the important world view philosophically. First, the human being’s 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world view of transcendental human being. The human being’s 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setting up as transcendental human being basing the reality. Next, the human being’s 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human being of Jatailce(自他一體, oneness of self and others). Finally, the human being’s view of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view of harmonic human being. Here, the harmonic human being means the harmony of I and world.

Ⅰ. 서론(문제의 제기)

Ⅱ. 동다송에 대한 기본인식

Ⅲ. 동다송의 인간관의 내용

Ⅳ. 동다송의 인간관의 성격과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