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6장 홍익인간의 교육이념과 국가교육과정의 교육적 인간상

A Study on the Humanitarian Ideal and the Vision for the Educated Person

  • 36

본 연구는 홍익인간의 교육이념과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적인 면을 나타내는 교육적 인간상의 관계를 비판적 입장에서 고찰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이들의 역할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를 제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홍익인간의 교육이념과 교육목적의 관계를 제시하고,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교육적 인간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실태를 바탕으로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이 교육적 인간상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은 교육과정 개정에서 일정하게 이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교육적 인간상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되었다. 그러나 교육적 인간상이 독립적이고도 명확하게 제시될수록 교육이념과 별개로 개정 교육과정 자체와 관련된 사항에 집중되고 있었다. 따라서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현대적 이론화와 교육적 인간상의 역할 정립이 요구되며, 이들 관계의 체계화를 통해 교육이념이 모든 교육 계획의 포괄적 판단 기준으로 작용하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the humanitarian ideal and the vision for the educated person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humanitarian ideal is the principle of education as the criterion of all education project and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vision for the educated person addresses characteristics of a man through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policy. So, both sides are intertwined with education activities. Especially, the vision for the educated person shall give shapes to the humanitarian ideal. But humanitarian ideal and educational aims are not considered and duly weighed in curriculum revision. The vision for the educated person in curriculum revision sets up main contents based on the government and social demand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humanitarian ideal to theorize as a modern meaning. Also, we must try to reorganize the system related to the educational aims, goals and objects.

Ⅰ. 서론

Ⅱ. 홍익인간의 교육이념과 교육목적

Ⅲ. 교육과정의 변화와 교육적 인간상

Ⅳ. 홍익인간의 이념과 교육적 인간상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