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7장 향산 이만도의 절의정신과 구국운동

Hyangsan Lee Man Do and His Independence Movement

  • 20

향산(響山) 이만도(李晩燾)는 일제의 국권침탈에 맞서 24일간의 단식으로 ‘자정순국(自靖殉國)’의 길을 선택한 대표적인 전통적 주자학자이자 올곧은 선비였다. 견위수명(見危授命)과 사생취의(捨生取義)라는 선비정신에 투철하였던 그의 구국운동은 먼저 의병운동으로 나타났는데, 갑오의병(甲午義兵)운동을 시작으로 을미 선성의병(宣城義兵)운동에서는 자신이 직접 의병장을 맡아 일제에 맞서 싸웠다. 나아가 그는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라는 상소를 올려 을사오적의 처단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러나 1910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한일합병조약이 체결되어 국권을 상실하게 되자, 이를 막지 못한 것은 자신의 죄임을 자처하면서 나라를 위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것이다. 향산의 순국은 이후 항일구국운동에 두 가지 차원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쳤는데, 그 하나는 안동지방에서 항일 순국의 물꼬를 연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다음 세대 독립운동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향산의 절의정신이 오늘날 우리들에게 주는 교훈은 첫째, 사회지도층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것, 둘째, 물질과 정신의 가치전도현상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 셋째, 공동체의 안전과 번영을 위해서는 극단적 이기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Hyangsan Lee Man Do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of Chosun Dynasty. He was faithful to Confucianism, a governing ideology during the period. His national salvation movement was developed as follows: In the First, He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Secondly, he appealed to the king ‘to kill 5 enemies (請斬五賊疏)’ in 1905. And finally, as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in 1910, he sacrificed his life for the fatherland. Therefore the lesson of Seon-bi spirit of Hyangsan to the present peo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in our society should have the spirit of ‘Noblesse Oblige’. Second, we should understand newly the importance of spiritual values in the age of materialism. And finally we must overcome an extreme egoism for the sustainable security and prosperity in our society.

Ⅰ. 문제의 제기

Ⅱ. 향산의 성장과 사상 형성의 배경

Ⅲ. 항일구국운동으로서의 의병운동

Ⅳ. 을사늑약의 반대투쟁과 순국

Ⅴ. 향산의 순국이 미친 영향과 유훈

Ⅵ. 맺는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