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 전통 속에서 군 최고사령관에 해당되는 도원수 제도를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도원수 제도는 전라도, 경상도, 그리고 충청도에서 일본 침입자를 지키기 위해 고려 후기에 시작되었다. 군 최고사령관제도인 도원수 제도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각기 다른 명칭으로 일컬어 졌다. 군사적 관점에서 보면, 고려 시대는 도원수, 총변관제도, 원수, 그리고 부원수로 구성되었다. 한편 조선 시대는 도체찰사, 도원수(관서도원수, 팔도도원수, 사도도원수, 북정도원수, 서북면도원수), 그리고 부원수로 구성되었다. 한국 전통의 도원수는 군부에 대한 왕의 주관적 문민통제를 위해 시행된 것으로 평가된다. 도원수 제도는 국가의 위기 상황시 왕의 전쟁철학을 구현하기 문신에게 위임함으로써 무력행사를 직접 수행하게 되는 무신들을 견제하는 기능을 했다.
This paper was aimed to explore great military marshal (Dowonsu) inside the Korean tradition. In Jeonrado province,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it was started since late Goryeo dynasty to defend Japanese invaders. But the situation of coordination was not well operated. To make good relationship, In an adjustment, Dowonsu system was established. In terms of military system, Goryeo dynasty period was comprised of Chongbyeonggwan, Dowonsu, Wonsu, and Buwonsu. In other side, Joseon Dynasty's command system was composed of Dochechalsa, Dowonsu (Gwansedowonsu, Paldo-dowonsu, Sado-dowonsu, Bukjeongdowonsu, Seobukmyeondowonsu), and Buwonsu. After all, the Dowonsu of the Korean tradition could be evaluated beginning of civilian control about the military authorities. Dowonsu carried out the function of checking Military Soldiers by giving empowerment to high rank civilian as implement the war intention and war philosophy of the King. In modern academic usage, it could be said subjective civilian control.
Ⅰ. 서론
Ⅱ. 고려 시대 도원수의 사례
Ⅲ. 조선 시대 도원수의 사례
Ⅳ. 한국 전통의 도원수 제도 종합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