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민속문화로서의 사주상담의 인식 및 미래가치

The counseling of Saju as a national culture: Recognition and Future Direction

  • 54

사주는 오랜 기간 전승되어온 민속문화의 하나이다. 특히 학계에서는 사주명리학을 제도권 학문의 영역에서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사주상담이 상담학의 영역으로 볼 때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는 미미한 편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주상담의 수요자인 내담자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사주에 대한 인식, 상담의 목적, 상담 후 생활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주상담의 미래가치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인원은 총 262명이며 설문 결과는 SPSS 21.0으로 t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산(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주의 인식조사에서는 여성, 기혼자, 고소득층, 불교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담목적에서 주부 자영업자는 가족상담이, 공무원 학생은 개인적 상담이 높았다. 셋째, 상담 후의 생활 변화는 기혼이 외적인 생활변화에서 높은 결과가 나왔다. 넷째, 향후 사주상담의 발전성에서는 불교가 기독교보다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주상담이 현대적 상담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Saju, which has been transmitted as a folk culture, made variousattmpts to construct integrated studies in the academic community. Butit was not enough to research data on demanders who have beenactually intersted in Saju and wanted to consult.This study investigatedan awareness of Saju, the purpose of consulting and changing life styleafter consulting in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t Saju. Also this studyis looking for the way to develop as the counseling studies. Thisresearch’s method made an analysis of feasibility survey that isparticipated 262 people. This survey is examined by SPSS 21.0. For theproof and setting, this study used 2 types of test; T-test for genderand marital status, One-way ANOVA test for incomes, occupation andreligion. As a result, firstly, female, married-people, people on highannual income and Buddhists had positive awareness of Saju. Secondly,housewives and self-employed people were interested in havingconsulting about own family problems, but students and governmentemployees were interested in private problems. Thirdly, people whomarried had positive effect in changing life style after consulting. Lastlydevelopment of consulting were higher in Buddhists than Christians.According to the research, this study was able to learn about theperceptions. Based on it, it came up with a direction how to use Sajuto communicate with consultants and consumers of Saju.

Ⅰ. 서론

Ⅱ. 민속문화로서의 사주명리

Ⅲ. 연구모형 및 분석

Ⅳ. 실증분석 결과와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