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은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로서, 그의 대표저서인 목민심서는 백성들을 구휼하기 위해서 목민관이 가져야 할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산의 목민심서에 함축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상을 바탕으로 사회복지행정의 이념을 고찰하고, 현대 사회복지행정이 나아가야 할 이념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즉, 다산의 사회복지행정 이념은 다산의 사회복지사상인 민본, 애민·휼민, 형평성, 자립적·자율적 공동체에서 애민 6조와 진황 6조의 구휼적 내용을 바탕으로 애민본성(愛民本性), 균휼성(均恤性), 자휼성(自恤性)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념적 방향은 각 주체가 그 지역공동체를 형성하여 자립적이고 자율적인 의지 및 판단을 통해 지역의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시민이 근본이며 균등하고 형평에 맞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결국 다산을 통하여 한국 사회의 현대 사회복지행정이 가져야 할 정체성을 고찰하고, 현실에 적합한 사회복지행정의 이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 Jeong Yak-yong is the Great Scholar due to compile the Silhak. He left many books of relieving and administering the people. Especially, The Mokminsimseo of his typical book is suggested to the concrete guidelines that the public official can be relieving the public. Then, this aim of study suggested to the ideological direction to proceed the moder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fter producing the ideology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based on social welfare idea implied the Mokminsimseo of Dasan. In other words, Minbon, Aemin, Hyulmin, Social equity, Self-reliant and autonomous community of Dasan’s social welfare produced Aeminbonseong, Gyunhyulseong and Jahyulseong through Aemin-six and Jinhwang-six article. And The ideological direction of moder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uggests that each subjects should form a community in the local area to solve local welfare problems independently and autonomically. Also, Since citizens are fundamental, they have to provide welfare services in an equational and balanced way.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d the identity of moder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Korean society and suggested the ideology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ppropriate to reality.
Ⅰ. 서론
Ⅱ. 다산의 사회복지사상 형성배경
Ⅱ. 다산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사회복지사상
Ⅳ. 한국 사회복지행정 이념적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