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사회 계속 거주 노인의 임상특징과 신체 자기효능감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Self-Efficacy for Aging in Community Place

DOI : 10.29144/KSCTE.2022.14.1.47
  • 212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외과수술경력, 의학적 과거력, 현재 질환 유무, 투약 유무 및 낙상경험이 그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적 특징에 기초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영향요인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방법: 본 연구는 단면조사연구(cross-sectional survey study)로,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종교, 주거 형태, 월수입), 임상적 특성(의학적 과거력),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다. 모든 조사는 방역지침에 따라 사전에준비한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투약을 하는 자의신체적 자기효능감은 50.70±9.94점 이었고, 투약을 하지 않는 자는 44.32±13.31점으로, 투약을 하는 노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투약을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최근 12개월 이내 낙상 경험이 있는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52.16±7.72점이었고, 낙상 경험이 없는 자는 47.42±12.57점으로, 낙상 경험이 있는 노인의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낙상 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은 질병관리와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건강증진행위는 그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고, 건강한 노후 및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고할 수 있다.

Physical self-efficacy refers to individuals'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successfully perform a particular task and their positive feelings about their physical capabilities. The greater their physical self-efficacy, the greater their capability and performance on physical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urgical history, medical history, current disease, medication, and fall experience on physical self-efficac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A total of 199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111 of which were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receiv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cope of the question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characteristics (surgical history, medical diagnosis, present disease, medication, and falling experience within a 12- month period) and physical self-efficacy. All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prepared in advance and in accordance with the quarantine guidelines. Analysis of the corrected data revealed that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those currently taking medica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those who had experienced a fall within the previous 12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 experience of fal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promoting behaviors that enable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the community to lead an independent daily life increases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are a useful method for healthy aging.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Ⅵ. 요 약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