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재해경감활동 성숙도 조사 신뢰성 분석
Reliability Analysis of the Maturity Survey of Enterprise Business Continuity Activitie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8 No.5
-
2022.0517 - 27 (11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5.17
- 이용수 52

초록
기업은 주요 기능 및 핵심 업무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 활동 지원에관한 법률의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따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이 과정은 기업의재해경감활동 준비상태(성숙도) 조사를 통해 재해경감활동 도입 수준의 제시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현행 성숙도 조사는 조사 문항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 성숙도의 변별력 저하와 재해경감활동의 분야별 차별성이 고려되지 못하는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해경감활동성숙도 조사의 사례분석을 통한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검토하고 조사 영역별 가중치 부여에 따른결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성숙도 조사 총 8개 영역에 속한 34개 문항이 영역 간 변별력부담보로 인해 조사 문항의 영역 간 구분에 신뢰성 결여와 그로 인해 조사 대상자의 유사 응답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maintain major functions and continuity during crisis, companies are establishing a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a standard for disaster management under the Act on assistance to the autonomous activities of enterprises for disaster mitigation. This process is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level of introduction of business continuity activities through the survey of the company’s preparation (maturity) for business continuity activities; however, the maturity survey in practice does not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survey items, indicating a problem in that the discriminating ability of maturity and the differentiation by field of business continuity activities cannot be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maturity survey of the business continuity activity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y applying weight to each survey it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34 questions in a total of 8 areas of the maturity survey lacked reliability in the classification between areas due to the burden of discrimination between items and the likelihood of similar responses of the survey subjects was high.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성숙도 조사 절차 분석
Ⅳ. 성숙도 조사 신뢰성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노인요양시설의 COVID-19 집단감염 대응체계 개선방향
-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우울증 완화를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간호학과 학생의 진솔성과 공감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한반도 위기관리를 위한 한일 GSOMIA의 군사외교적 고찰
- 해외주요국의 재난관리체계 특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표준대응절차 개선방안 모색
- 껌씹기가 복강경하 복부수술 환자의 장운동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중소병원 간호사의 급성 호흡기 감염병 관련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착탈 수행도
- 기업 재해경감활동 성숙도 조사 신뢰성 분석
-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돌봄행위 중요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위기관리를 위한 동적역량 학술경향 연구
- Crisisonomy Vol.18 No.5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