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8 No.5.jpg
KCI등재 학술저널

위기관리를 위한 동적역량 학술경향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Trends of Dynamic Capability for Crisis Management: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 Korean Academia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5.153
  • 56

본 연구는 국가와 기업의 위기관리에 도움이 될 동적역량이론에 대한 국내 연구경향을 분석하고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체계적 문헌분석 방법론을 기반으로 동적역량과 관련된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논문 644편을 검색한 후, 이 중 분석대상 118편을 선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적역량 국내학술연구는 200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사회과학분야에서 실증연구방법을적용한 연구가 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분야는 수출, 조직, IT, 기업가정신, 기술혁신, 환경경영, 사례분석의 7개 분야로 나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출된 주요 연구 분야는 동적역량의 핵심요소로서 기능차원과 경영차원으로 분류되어 동적역량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적역량이론과 관련된 개별연구의 위상을 정립하고 향후 위기관리와 연관된 연구 분야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ports on the Korean academic trends of dynamic capability theory that will help the crisis management of the state and companies and presen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644 papers on dynamic capability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were searched and 118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ademic research about dynamic capability in Korean academia began in 2006. Most of researches were mainly conducted with applying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It was found that the main research fields were divided into seven areas: export, organ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entrepreneurship, technological innov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case study. The derived major research fields were found to constitute dynamic capability by being classified into functional and managerial dimensions as key elements of dynamic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establish the status of individual studies related to dynamic capability theory and identify research fields related to crisis management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