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8 No.6.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이후 노인 정서 변화 유형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s of the Elderly’s Emotional Change after COVID-19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6.21
  • 95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노인의 정서 변화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시도되었다. ‘춘천노인생활실태조사’ 패널자료 중 종단 2개 시점인 2018년과 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이후 정서 변화를 정상유지, 우울전환, 우울지속, 정상회복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변화 요인이 정서 변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증과 수면의 질의 악화, 자녀와 친구⋅이웃과의 비대면 소통 횟수의 감소, 형제자매와 친구와의 만남 횟수의 감소가 정상유지형에 비해 우울전환형에 속할 가능성을 높였다. 코로나19 이후 식사 횟수의 증가, 형제자매와의 전화 통화 횟수 증가와 친구와 만남의 횟수 증가가 우울지속형에 비해 정상회복형에 속할 가능성을 높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코로나19로인한 노인 우울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정서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types of emotional change in the elderly after COVID-19. Using the panel data at two longitudinal points in 2018 and 2020 among ‘Chuncheon Elderly Living Condition Survey’, the types of emotional change were categorized into normal sustained, depression transition, depression sustained, and normal recovery type.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changes after COVID-19 on the types of emotional change were analyzed. As a result, when pain and quality of sleep worsened, or frequency of calls with children/friends/neighbors and meeting frequencies with siblings/friends decreased, probability of belonging to depression transition type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sustained type. In addition, when number of meals increased, or meeting frequencies with friends and frequency of calls with siblings increased, probability of belonging to normal recovery type increased compared to depression sustained type. Based on the results, the alternatives are proposed to prevent depression caused by the effects of COVID-19 and to restore the depressed emotions to the normal stat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