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8 No.7.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동식 차폐장비(화염방패) 개발을 통한 ESS 화재 대응 방안 연구

A Fire Response Measures of ESS (Energy Storage System) by Making a Mobile Shielding Equipment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7.63
  • 101

ESS 설비는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범세계적인 ‘탄소중립’ 에너지 정책에 따라 그 수요와공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ESS에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열이나 충격에민감하여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이 크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팀은 ESS 화재 위험성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ESS 화재진압 상 장애 요인을 탐색하여 소방대원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활동을 위해 복사열을 차단하고, 체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식 차폐장비(화염방패)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이동식 차폐장비(화염방패)를 활용한 효율적인 대응 전술을 개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대한민국 소방 조직에 ESS 시설 화재 대응 역량 강화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ESS facility’s demand and supply are increasing explosively because of ‘Carbon Neutral’ energy policy for human beings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lithium-ion batteries which are mostly used in ESS have a fatal shortcoming that they are sensitive to heat and impact. So our research team proceeds a study about two main purposes to protect our citizens safety from a fire risk of ESS. First, we make a shielding equipment that blocks out radiation and minimizes exhaustion of physical strength so that firefighters can search obstructive factors more safety and efficiently while putting out the fire. Second, we make an efficient confrontational tactic that utilizes the developed shielding equipment. Through our research, we expect it will be used for basic research data that makes fire response capability strong about ESS facility.

Ⅰ. 서론

Ⅱ.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한 문제 탐색

Ⅲ. 이동식 차폐장비(화염방패) 및 실험연구

Ⅳ 전술개발 및 표준작전절차(SOP) 개선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