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용 저수지의 붕괴 사례 분석을 통한 안전점검체계 취약요소 분석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Safety Inspec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Reservoir Failure Case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8 No.8
- : KCI등재
- 2022.08
- 81 - 91 (11 pages)
최근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에 의한 태풍, 집중호우에 따른 재해의 증가는 노후 저수지의 붕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는 전국에 17,106개소로 준공연도가 50년 이상인시설은 85.6%를 차지한다. 노후 저수지는 대부분 총저수용량이 5만m³ 미만의 지자체 관할 저수지로안전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연구에서는 지자체 관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에대한 특성을 반영한 안전점검 개선 연구는 아직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안전등급, 붕괴 사례, 제원 특성을 조사하여 안전점검의 취약요소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붕괴저수지의 파괴모습에서 구조적 취약성에 따른 상태평가의 취약요소를 도출하고 취약요소를 반영한 상태평가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안전점검체계의 개선은 노후 저수지의 안전성능 확보를 통해서 피해 발생을 저감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recent increase in disasters caused by typhoons and torrential rain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extreme weather is acting as a risk factor for collapse of old reservoirs. In Korea, there are 17,106 agricultural reservoirs nationwide, and 85.6% of the facilities have been completed for 50 years or more. Most of the old reservoirs are under the jurisdiction of local governments with a total storage capacity of less than 50,000 m3 and safety management is insufficient. However, in current domestic studies, studies on improvement of safety inspec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the jurisdic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still insignificant. Therefore, in this study,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that reflects the vulnerable factors of the condition evaluation that analyzed the collapse cases of agricultural reservoirs. It is judged that such improvement of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will reduce the occurrence of damage by securing the safety performance of the old reservoir.
Ⅰ. 서론
Ⅱ. 농업용 저수지의 안전관리 기술규정과 한계
Ⅲ. 농업용 저수지의 붕괴 사례조사
Ⅳ. 붕괴 저수지의 사례 특성에 따른 상태평가의 취약요소 도출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