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그리고 그에 따른 빅데이터 자본주의의 출현에 대응하기 위한 비평이론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후 비평이론의 전개에서 프랑스철학이 갖는 위상을 점검하고, 비평이론이 곧 ‘비평의 욕망,’ 또는 ‘욕망하는 비평’의 문제라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이런 ‘비평의 욕망’은 정세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1980년대 CIA보고서가 명확하게 보여준다. 프랑스 철학은 글로벌 자본주의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좌파의 이론을 만들어내고자 했지만, 불가항력적인 정치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지식인의 퇴거와 이론의 쇠퇴로 이어졌다. 이런 급속한 변화의 기저에 놓인 것은 인지 자본주의의 출현과 이를 더 정교화한 감시 자본주의의 등장이다. 이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인지 자본주의와 감시 자본주의의 관계를 밝히고, 이런 조건에서 비평이론의 역할이 무엇인지 묻고자 한다. 결국 비평이론은 정치적인 문제이기에, 비평의 욕망은 감시 자본주의의 빅데이터 경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그에 대응하는 대안의 현행화를 도모하는 지적 운동일 수밖에 없음을 강조할 것이다.
This essay discusses the rise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and its effects on the reconstruction of critical theory. This consideration will be about how the desire for critical theory, or the desiring critique, could intervene in the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phase based on big data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 will clarify the fact that the revival of critical theory should be the reconsideration of French philosophy (or French theory) and its political foundation since the 1950s. The vital link between critical theory and political conjunctures is revealed in the CIA’s report on French philosophy in the 1980s. The failure of radical French philosophy led to the decline of intellectuals and the reification of critical theory. I will relate this situation to the advent of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and its changed mode of accumulation. My conclusion will focus on the role of critical theory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big data capitalism and imposing its political implication on the celebration of technological advances.
1. 시대착오적 주체성과 비평
2. 전후 프랑스 철학과 비평이론
3. 신자유주의와 급진주의의 종언
4. 감시 자본주의와 빅데이터
5. 기술과 사법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