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한·루마니아 산업협력 증진방안: ICT와 인프라를 중심으로

루마니아를 비롯한 EU 내 중동부유럽 국가들은 EU 회원국 가운데 현재 성장동력이 가장 기대되며, 우리나라도 최근 EU 내에서 이들과 무역․투자를 비롯한 경제협력을 가장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2011년 7월 한·EU FTA 발효 이후 EU 전반의 경기침체 여파로 우리의 대EU 수출실적은 부진을 면치 못했으나, 중동부유럽 국가에 대한 수출실적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이들은 또한 우리의 대표적인 무역수지 흑자 대상국이다. 2004년 EU 가입 중동부유럽 국가들은 급속한 경제성장, 소득증가, 교역확대 및 FDI 유치 급증 등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 EU 내에서 가장 역동적인 성장동력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2007년 EU 가입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술한 선도 가입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성장세를 시현할 기회가 적었던 루마니아는 향후 EU 경제에서 역동적인 성장동력의 역할을 이어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세계 최대 구매력을 가지고 있는 EU 시장 접근에 있어 최근 우리 기업 및 정부는 전술한 EU 내 중동부유럽 국가와의 경제협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여타 국가에 비해 루마니아에 대한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폴란드에 이어 중동부유럽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루마니아는 향후 성장잠재력이 EU 내에서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루마니아의 유망 산업을 선정, 심층 분석하여 한·루마니아 산업협력 강화 및 진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한·중동부유럽 경제협력 증대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유로존 재정위기 이후 주춤하고 있는 우리의 EU 시장 진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향후 EU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발전 가능성이 큰 신규회원국 루마니아 경제의 잠재력과 한국과의 산업협력 가능성을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대응 및 전략적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대외경제정책 수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지역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KIEP가 전략지역심층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본 연구는 EU 신규회원국이며 EU 내에서 경제 성장동력이 가장 기대되는 루마니아 경제의 잠재력과 한국과의 산업협력 가능성을 분석한다. 즉, ICT와 인프라 부문을 루마니아의 주요 산업으로 선정하여 심층 분석하고 현지 시장진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 마련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루마니아의 주요 산업별 위험요인, 잠재력, 협력 혹은 진출 가능성 등을 분석한다.…

The Central & Eastern European (CEE) countries, including Romania, have the highest growth potentials in the EU. Reflecting this situation, Korea has been expanding its efforts on economic cooperation issues, such as trade and investment, with these countries. After the Korea-EU FTA came into effect in July 2011, Korea’s exports to EU have been underperforming due to economic recession throughout the EU. However, Korea’s trade with the CEE countries has remained stable and Korea has continued to maintain a trade surplus with these countries. Most of the CEE countries, who joined the EU in 2004, served as a dynamic growth engine for the EU, showing rapid economic growth, increase in income, expansion in trade and FDI growth, until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Romania, who joined the EU in 2007 and experience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ogether, did not hitherto have a proper opportunity to realize its economic growth. Therefore, possibilities are high for Romania to serve as the growth engine of the EU in the near future. As the EU market has the world’s greatest purchasing power, Korean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re looking forward to expand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CEE countries to gain further access into the EU market. Yet, information on Romania remains relatively scarc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has selected two Romanian industr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s to strengthen Korea-Romania industrial cooperation and to suggest effective entry into the Romanian market, with the aim of enhancing Korea-CEE economic cooperation to overcome contracted market access in the EU following the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otentials of the Romanian economy as a growth engine of the EU, and the possibilities of industrial cooperation with Korea. More specifically, we have selected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 technology (ICT) sector and infrastructure sector as our main industries in focu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potentials, cooperation possibilities of each sector, through which we will seek strategic means to invigorate market entry.…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루마니아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경제동향

가. 최근 경제현황 및 특징

나. 향후 전망

2. 산업구조 및 산업정책

가. 산업구조

나. 주요 산업정책

제3장 ICT 산업

1. 개황

2. 산업 정책

가. 루마니아 디지털 어젠다 2020

나.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개발계획과 RoNET

3. 산업구조 및 세부 산업 현황

가. 인터넷 및 통신

나. 하드웨어

다. 소프트웨어 및 IT 서비스

4. 산업 성장잠재력 및 전망

제4장 인프라 산업: 수송 인프라

1. 개황

가. 인프라 경쟁력

나. 승객 운송

다. 화물 운송

2. 산업정책

가. 일반 수송 마스터플랜

나. 범유럽 수송네트워크

3. 산업구조 및 세부산업 현황

가. 도로

나. 철도

다. 항만 및 수로

라. 공항 및 복합 설비

4. 산업 성장잠재력 및 전망

제5장 대루마니아 산업협력 방향 및 진출전략

1. 한·루마니아 무역·투자 현황

가. 무역

나. 투자

2. 루마니아 시장 진출환경 평가

가. 외부환경 분석

나. 내부환경 분석

3. 루마니아 시장 중장기 진출전략

가. S-O 전략

나. W-O 전략

다. S-T 전략

라. W-T 전략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설문지: 루마니아 시장진출환경 주요 요인 평가

부록 2. 「루마니아 시장진출 비즈니스 환경」 AHP 평가를 위한 설문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