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아프리카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과 한국의 협력방안: 동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 22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care, 혹은 간단히 m-health)는 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통칭하는 용어로, 휴대전화의 단문형문자서비스(SMS)부터 신체 착용형 의료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의료정보 수집까지 다양한 범위의 의료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래 기술선진국을 중심으로 확산되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는 최근 ‘개발도상국을 위한 유/무선 통신 기반 의료(m/e-health for development)’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개발도상국의 열악한 보건 인프라를 개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오지에 있는 환자를 원격으로 진단하거나 기초적인 보건의료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부족한 보건 시설 및 인력을 좀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보건의료정보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데 이르기까지, 개발도상국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 특히 세계적인 기술 수준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제도적 기반과 시장 현황으로 인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국내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계에 개발도상국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은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이다. 주요 선진국에서 관련 분야 육성정책과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을 확대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법적·제도적 기반이 부족하고 시장 진입 비용이 상당히 높아 우리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수출시장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기존의 보건의료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의 이해관계가 뚜렷한 선진국과 달리 개발도상국의 공공보건 서비스 시장은 기존의 민간의료 서비스 공급자가 많지 않고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규제가 적어 기술수용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또한 현지 정부 및 국제개발협력기구의 보건환경 개선 요구가 높아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을 이용한 공공보건 의료 시스템 구축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obile healthcare or m-health is defined as all kinds of healthcare services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r mobile diagnostic devices. Recently ICT-based healthcare industry is emerging as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healthcare infrastructure in develop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Korean m-healthcare industry that has outstanding technology such as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electronic medical record management platforms, and mobile-based diagnostic devices faces premature domestic market and lack of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It is also hard to create markets in other advanced economies because most Korean m-health companies are small- to medium-sized start-ups and other advanced economies have the similar market environment. Public healthcare service in developing countries is promising to the firms because m-health technology is easily accepted due to fewer regulations and less social interest conflict. In addition, governments of developing countrie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ies have strong demand for m-health to develop public healthcare infrastructur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범위 및 구성

제2장 동아프리카 주요국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의 주요 특징 및 현황

1. 케냐

가. 최근 경제·산업 현황

나. 보건 분야 현황 및 정책

다. 국제사회 지원 현황 및 주요 개발협력 사례

2. 르완다

가. 최근 경제·산업 현황

나. 보건 분야 현황 및 정책

다. 국제사회 지원 현황 및 주요 개발협력 사례

제3장 우리나라 모바일 헬스케어 기업의 개발도상국 시장 진출 사례

1. 주요 기업의 진출 사례

가. KT

나. 힐세리온

다. 제윤메디컬

라. 노을

마. 병원정보 시스템

2. 주요 기업 진출 사례의 특징 및 전략 분석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