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인도 외국인직접투자의 구조적 변화와 시사점: M&A를 중심으로

  • 18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다국적기업들의 인도기업 인수합병이 활발해지면서 인도 인바운드 M&A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소·중견 및 대기업 등 일반기업은 물론,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털 등 다양한 유형과 형태의 외국인투자자들이 인도기업과의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M&A 활성화는 비단 인도뿐만 아니라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지난 몇 년간 글로벌 M&A시장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새로운 ‘M&A 물결(wave)’의 시대로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인도가 주요 투자처로 부상하며 글로벌 M&A(Cross-boarder M&A)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4년간 인도의 인바운드 M&A는 금액 기준 연평균 17% 성장했고, 특히 2016년에는 전년대비 약 80% 성장하며 글로벌 M&A시장 성장률(2.3%)을 압도했다. 이처럼 외국인투자자들이 인도시장 진출을 위해 M&A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은 최근 인도의 대내외 M&A 환경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과 관련이 깊다. 대내적으로는 2014년 출범한 모디 정부가 ‘모디노믹스’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거시경제 환경을 조성했고, 투자활성화에 중점을 둔 개혁개방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글로벌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 인도는 최근 4년간(2013~16년) 평균 7.2%의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물가안정과 재정적자 완화라는 성과도 거두었다. 또한 인도정부는 ‘디지털인디아’, ‘메이크인 인디아’, ‘스마트시티 개발’ 등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한 국가발전 핵심 이니셔티브와 함께, GST(Goods and Service Tax) 도입, 토지법 및 노동법 개정 추진, 화폐개혁 등 다양한 개혁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M&A와 관련 있는 FDI정책, 회사법, 증권거래 규제, 경쟁법, 소득세법 등을 최근 수년간 지속 개정·보완해 거래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하면서 M&A 환경 및 제도를 개선하는 데 중점을 뒀다. 한편 대외적으로는 최근 수년간 지속되어온 저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기업들의 자본조달 여력이 높아진 가운데, 글로벌 경기침체로 M&A시장에 저평가된 매물 공급이 확대되면서 인도는 물론, 글로벌 M&A시장이 전반적으로 활성화됐다. 또한 무엇보다 저성장 시대 ‘내부적 성장(organic growth)’의 한계에 봉착한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사업다각화, 신기술 습득, 그리고 산업 및 기술 간 융·복합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M&A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했다.…

Recently, India’s inbound M&A transactions have been growing together with the boom in acquisitions of Indian domestic firms by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Various types of foreign investors such as conglomerates, SMEs (small-and medium-sized enterprises), VC (venture capital) and PE (private equity) entities are hurrying to enter the Indian market through M&As with Indian firms. This trend may have been influenced by positive changes in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M&A environment surrounding India or in the global market. Regarding these changes, since 2014 the Indian government has been struggling to improve macroeconomic conditions (i.e. accelerating growth, reducing inflation and fiscal deficit) while focusing on various economic reforms, and through this to promote foreign investment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India. In particular, the Indian government has continued to introduce or revise M&A-related regulations, policies, and laws, thus improving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India’s M&A market. With the newly rising wave of M&As and reforms in India, structural changes are taking place in India’s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st, we found that the share of M&A to total FDI is expanding with faster growing than green field investment. This trend is becoming more pronounced for the last couple of years. Also, within the inbound M&A market, there are some significant changes: 1) M&A transactions are more active in technology-intensive and high value-added sectors such as IT- or digital-based, pharmaceutical, finance sectors, rather than labor-intensive sectors which used to dominate the M&A market in the past, 2) the number of vertical or heterogeneous combinations between MNCs and Indian firms is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when horizontal combination dominated, thus diversifying combination types, which means MNCs recently tend to focus on enhancing their value chain, seeking new business, and expanding their market, 3) asset transactions and market participation by SMEs are growing, with the boom in ‘small deals’, and diversifying investor types such as VCs, PEs, etc. In addition, most importantly, the origin of foreign investors is diversifying. In recent,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actively acquiring Indian firms compared to the past when a few developed countries dominated the Indian M&A market, therefore reducing excessive dependance on specific regions or countr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구성 및 내용

가. 주요 내용 및 범위

나. 연구의 차별성 및 한계와 과제

제2장 외국인직접투자 및 M&A 환경, 제도 변화

1.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 및 M&A 환경 변화

가. 거시경제 및 개혁개방 정책 변화

나. 대내외 M&A 환경 변화

2. 인도의 M&A 관련 외국인투자 정책 및 규제

가. M&A 관련 정책 및 규제, 법률 프레임워크

나. 외국인직접투자정책(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다. 인도 회사법(National Company Law 2013)

라. 증권거래 규제(SEBI Regulation 2011)

마. 경쟁법(Competition Act 2002)

바. 국경 간 M&A(cross-boarder M&A) 관련 세제

3. 소결

제3장 인도 M&A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특징

1. 국경 간 M&A: 인바운드 거래(inbound deal)

2. 업종 및 형태

가. 결합업종

나. 결합형태

다. 결합유형

3. 외국인투자 원천(origin)

가. 지역별

나. 국가별

4. 기업 및 자본 유형

가. 결합 기업 유형

나. 자본 유형: 사모(Private Equity), 벤처캐피털(Venture Capital)

5. 결합 규모

6. 소결

제4장 M&A 사례 및 시사점

1. 다국적기업의 인도기업 M&A 사례

가. 아시아 다국적기업 사례

나. 유럽 및 미국 다국적기업 사례

2. 우리 기업의 대인도 진출에 대한 시사점

가. M&A를 활용한 진출기회 제고: 중소·벤처 기업, 유망산업 중심

나. 기업 내부 M&A 역량 강화 및 파트너십 구축

다. M&A 관련 정책 및 규제, 법률 변화 대응

라. 해외 M&A 활성화 지원정책 강화 및 활용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