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중·몽·러 경제회랑의 발전 잠재력과 한국의 연계방안

  • 2

2016년 6월 중국, 몽골, 러시아는 32개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중·몽·러 경제회랑 건설 프로그램’을 확정했다. 해당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해 첫째, 교통·물류 인프라 발전 차원에서 TMGR을 비롯한 몽골 교통 인프라 현대화, 국경 물류 통과지점 현대화, 세관 업무·검역 관리 개선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산업 발전 차원에서는 3국간 산업협력협정 체결, 중국의 변경경제협력구를 기반으로 하는 지방간 경제협력 활성화, 몽골 전력 인프라 개선, 몽골의 축산물 수출 확대, 환경보호 협력, 초국경 관광 아이템 개발 등이 추진될 것으로 판단된다. 중·몽·러 경제회랑 건설 프로그램 수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국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의지이다. 실제로 중국은 자국 주도의 유라시아 교통·물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일대일로’ 전략을 수행하고 있고, 러시아는 극동·시베리아 개발을 위한 동방정책 가속화와 유라시아 경제통합을 위한 EAEU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몽골은 중국과 러시아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활용하는 ‘초원의 길’ 이니셔티브를 주창하고 있다. 이러한 3국의 유라시아 전략을 이상적으로 수렴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몽·러 경제회랑의 실현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32개 프로젝트의 층위가 너무 다양하여 사업이 구체화되고 실제로 수행되는 과정에서 참여국간 의견 대립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 넓은 영토에 비해 적은 인구를 가지고 있는 해당 지역의 특징으로 인해 교통·물류 인프라 협력의 투자 대비 효율이 아직 낮고 이를 산업협력과 결합하기도 쉽지 않다는 점 등은 여전히 리스크로 남아 있다. 한편 현재 한국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글로벌 경제환경의 불확실성 고조로 인한 민간의 투자 리스크 증대, 서방의 대러 경제제재와 러시아 경제상황의 악화, 남북관계 악화와 이로 인한 남·북·러 3자 협력사업의 중단 등으로 적극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몽·러 경제회랑과의 연계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유라시아 협력 로드맵’의 기본 구상을 실현하는 대안적 협력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몽·러 경제회랑은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 중점협력 대상 및 협력국인 러시아, 몽골, 중국이 추진하고 있고, 리스크가 적은 소다자협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남북관계 개선 시 확장성이 있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In June 2016, China, Mongolia and Russia confirmed the “China- 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Construction Program,” which includes 32 projec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first, modernizat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cluding Mongolia, TMGR, modernization of border logistics passing point, improvement of customs affairs and quarantine management will be done in order to develop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industrial development, based on the signing of industrial cooperation agreements of three countries and China’s Border Economic Co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improvement of power infrastructure of Mongolia, expansion of export of livestock products in Mongolia,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transboundary sightseeing items will be promot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conomic corridor construction program in China, Mongolia, and Russia is the strong commitment of the three governments. In fact, China is implementing “One Belt, One Road” strategy for building its own Eurasian traffic and logistics network. And Russia is attempting to accelerate “Look East Policy” for Far East and Siberia development and to expand EAEU for Eurasian economic integration. And Mongolia is advocating the “Steppe Road” initiative, which takes advantage of its geographical loc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s two major powers. In view of the ideal convergence of these three countries’ Eurasian strategies, the “China-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is likely to be realiz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중국 및 러시아의 유라시아 전략과 몽골

1. 중국의 유라시아 전략과 중·몽 경제협력

가. 중국의 유라시아 전략에서 몽골의 의미

나. 중·몽 경제협력의 성과와 한계

2. 러시아의 유라시아 전략과 러·몽 경제협력

가. 러시아의 유라시아 전략에서 몽골의 의미

나. 러·몽 경제협력의 성과와 한계

제3장 중·몽·러 경제회랑의 현황과 발전전망

1. 중·몽·러 경제회랑의 추진계획

가. ‘초원의 길’ 이니셔티브의 제기배경

나. 몽골의 주요 국가개발정책과 경제회랑

다. 중·몽·러 3자 협력 발전과 경제회랑 계획

2. 중·몽·러 경제회랑의 발전전망

가. 교통·물류 인프라 발전

나. 산업 발전

다. 평가와 전망

제4장 중·몽·러 경제회랑과 한국의 연계방안

1. 기본구상

2. 교통·물류 인프라 연계방안

가. 한국에 유리한 교통·물류 노선 개발 유도

나. 투먼 교통회랑과 연계한 중·몽·러 교통 인프라 개발

다. 동몽골 철도 네트워크와 나진항 연계

라. 국제물류정보시스템 공동개발 지원

마. 초국경(cross-border) 국제물류단지 개발 참여

바. 한·몽 공동연구센터 설립

3. 산업협력 방안

가. 정유시설 건설

나. 초국경 경제협력지대 활용

다. 전력 인프라 구축 대응

라. 몽골의 축산물 공급 선대응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