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시장 현황과 한국의 협력방안: 가나와 우간다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가나와 우간다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시장의 시장구조 및 현황, 관련 정책 등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관련 국가 간의 산업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지금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진 원조를 기반으로 산업화에 착수하였고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금융부문의 발전은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은 아프리카 국가만 가지는 제도ㆍ문화ㆍ사회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더디게 발전할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이에 대한 반사적인 효과로 아프리카의 몇몇 국가 내에서 이미 모바일 금융이 활성화되고 있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케냐의 경우 인구 대부분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80% 정도가 모바일 금융을 이용하여 교통과 금융서비스 등 다양한 시장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우리나라 및 기타 선진국에서 회자되고 있는 애플머니, 삼성페이, 카카오머니 등보다 10여 년이나 앞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각 장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장에서는 아프리카의 금융 및 모바일 금융 전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아프리카의 금융시장 및 금융감독 체계, 그리고 운영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금융건정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모바일 금융이 시작되고 확산된 맥락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아프리카의 모바일 금융은 선진국, 특히 영국과 독일을 주축으로 한 원조 프로그램의 결과로 운영되는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모바일 금융서비스는 케냐의 M-PESA이다. M-PESA는 아프리카 지역뿐만 아니라 많은 개도국에서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으므로, 이 연구의 모범사례 국가로 케냐를 채택하여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인 가나와 우간다에 대한 사전조사의 기본구조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 국가의 이동통신환경 및 금융환경, 모바일 금융환경을 검토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pursue industri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African countries and Sou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Ghana and Uganda’s mobile financial markets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in Africa, specifically Kenya. With the sup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frican economies and their industries have begun to bloom. However, addressing the totality of the financial sector,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due to limitations in distanc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social agreements. Even so, Africa is headed on the right path, especially with the proliferation of mobile phones. In Kenya, many are enjoying the benefits from finance services offered, i.e. money transactions to glossary shopping, through Vodafone's M-PESA service. It can be said that the African mobile finance services are considerably mature compared to that of other regions. Chapter 2 analyzes the African financial markets, its supervision system and operating structures. It should be stated that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frica’s mobile finance services. M-PESA was established by the UK’s overseas development agency, DFID, and Vodafon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was established by Germany’s GIZ program. Success of M-PESA, format of M-PESA became the de-facto standard in Afric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Using Kenya’s market as a basis for this research, as the financial mobile services is considered most mature, the research was extended to Ghana and Uganda’s financial sectors, including their mobile phone environment.…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

가. 연구의 필요성 및 시의성

나. 정책대안 제시 및 정책 기여 가능성

3. 연구 방법론

제2장 아프리카의 금융과 모바일 금융

1. 아프리카의 금융과 현상

가. 아프리카 주요국 금융 감독과 개요

나. 조사 대상국가 금융시장 개요

2.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의 이해

가.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의 역사

나. 모바일 금융의 확대: 대출과 보험

다.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의 위험과 규제

3. 모범 사례로서의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 케냐

가. 케냐의 이동통신 서비스

나. 케냐의 금융서비스

다. 케냐의 모바일 금융서비스

제3장 주요 공여국의 모바일 금융 민관협력

1. 영국(DFID)

2. 미국(USAID)

3. 독일(GIZ)

가. GIZ의 개발지원 형태

4. 다국적 컨소시엄의 민관협력과 모바일 금융

가. GSMA의 모바일 금융 개발 프로그램

나. CGAP의 모바일 금융 개발 프로그램

제4장 가나와 우간다의 모바일 금융 현황

1. 가나

가. 가나 모바일 금융시장의 배경

나. 가나 모바일 금융시장 현황

다. 설문조사로 본 가나의 모바일 금융 이용 상황

2. 우간다

가. 우간다 모바일 금융시장의 배경

나. 우간다 모바일 금융시장 현황

다. 설문조사로 본 우간다의 모바일 금융 이용 상황

제5장 한국의 대아프리카 모바일 금융 진출방안

1. 한국의 모바일 금융 현황

2. 사례 국가들에 대한 진출방안

가. 가나 진출방안

나. 우간다 진출방안

3.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 진출의 문제점

4.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 진출방안

가. 현지 정보제공 지원 체제 확립

나. 정부 및 국제기구의 지원확대를 활용한 진출

다. 관련 인력양성 및 인적 네트워킹 활성화

라. 국내ㆍ외 ODA 프로그램과 연계

마.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활용한 지원 확대

바. 한국의 아프리카 모바일 진출방안 종합

5.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