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중부 유럽 4개국의 경제산업구조 변화와 입지 경쟁력 분석

  • 9

비세그라드그룹(Visegradgroup)으로 명명되는 중부 유럽 4개국, 즉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들 국가가 주목받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경제적인 이유이다. 1989년 체제전환 이후부터 이들 중부 유럽 4개국은 여타 중동부 유럽국가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2004년 EU 가입 이후에는 유럽 단일시장 내 최적의 생산기지로 부각되면서 모범적인 경제발전 모델로 칭송받고 있다. 양호한 경제성장과 투자전망으로 중부 유럽 4개국은 BRICs 및 터키와 더불어 잠재력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다. 둘째 이유는 공고한 정치적 연대를 통해 이들 국가들이 EU 내에서 ‘단체행동’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들의 공동행동노선은 EU 가입 이후에도 지속되어 과학기술, 교육, 국경통제 및 사회발전정책 등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특히 EU 구조기금(Structural Fund)을 배분받는 과정에서 이들의 공동대응전략은 더욱 돋보였다. 강한 응집력을 지속하고 있기에 독자적인 정치행위자로서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있다. 마지막 이유는 이들 국가가 지닌 특이성으로 인해 한국과 유럽연합(EU)의 관계에서 비세그라드그룹이 차지하는 의미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 지역에 대한 연구 작업이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다. 비세그라드그룹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 Visegrad Group is an alliance of four Central European states – Czech Republic, Hungary, Poland and Slovakia.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interest in the Visegrad Group has been rapidly growing. First, the economic one. Since political transition, which began in 1989, those four countries reached a much higher economic growth rate than other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fter joining the EU (European Union) in 2004 and entering the European Single Market, the Visegrad Group countries have been regarded as a successful model of economic development. They are also evaluated as the most prominently potential region for further growth along with BRICs, and Turkey due to a satisfactory economic growth and prospect of investment.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se countries have continued to stand as a bloc of 'Collective Action' within the EU through their strong political solidarity. Even after their accession to the EU, their collective action is expanding to include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border controls, and social development policy. Their collective action strategy is strikingly noticeable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EU Structural Fund. This kind of strong cohesion qualifies them as an independent political actor. Finally, and perhaps most significantly, the Visegrad Group plays a special role in Korea – EU relations. However,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carried out about this region in Korea. Hence, there is a growing need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Visegrad Group.…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장 중부 유럽 4개국의 거시경제지표와 산업, 무역 구조 변화

1. 중부 유럽 4개국 개황

가. 체제전환과 경제, 사회적 변화

나. 유럽연합 가입 이후 경제성장

2. 중부 유럽 4개국의 거시경제 변화

가. GDP 변화 및 국제수지 변화

나. 인플레이션(HICP), 실업률 변동

다. 환율, 이자율 변동

라. 정부 재정적자와 부채비율 변동

3. 중부 유럽 4개국의 산업구조 변동

가. 농업과 어업

나. 산업, 건설, 제조업

다. 도소매-숙박-요식-운송, 금융-부동산, 공공행정-가내활동

4. 중부 유럽 4개국의 무역구조 변화

가. 중부 유럽 4개국의 수출입 규모와 무역수지

나. 수출입 품목 변화

다. EU-15 및 기타 국가와의 교역

5. 소결

제3장 중부 유럽 4개국의 입지 경쟁력 요인 분석

1. 중부 유럽 4개국의 입지 경쟁력 동인

2. 중부 유럽 4개국의 대내외적 경쟁력 요인

가. 지정학적 이점

나. 지리적 인접성에 기인한 국가간 연대

다. 노동비용 대비 우수한 노동인력

3. 중부 유럽 4개국의 EU 구조기금 수혜에 따른 경쟁력 제고 요인

가. EU 구조기금 배분 시스템

나. EU 구조기금과 연계된 경제발전 전략

다. EU 구조기금을 활용한 산업 인프라 구축 현황

4. 소결

제4장 중부 유럽 4개국의 입지 경쟁력에 따른 외국인직접투자(FDI)

1. 중부 유럽 4개국의 FDI 유치 정책

가. 폴란드

나. 체코

다. 슬로바키아

라. 헝가리

2. 중부 유럽 4개국의 FDI 유입 현황

가. 폴란드

나. 체코 및 슬로바키아

다. 헝가리

3. 중부 유럽 4개국의 FDI 유입 효과 및 변화 추이

가. FDI 유입 효과

나. 최근 FDI 유입 변화 추이

4. 소결

제5장 중부 유럽 4개국의 생산기지 이전 사례연구: 자동차산업의 사례

1. EU 산업구조조정에 따른 특정 산업의 중부 유럽 국가 이전

가. 중부 유럽에서 자동차 생산증가와 서유럽에서 자동차 생산감소

나. 다국적기업의 기업이전 전략

2. EU 내 다국적기업 GVC 변화와 중부 유럽의 자동차 산업

가. 중부 유럽 국가의 글로벌 가치사슬(GVC) 편입

나. 다국적 자동차기업의 생산기지 다각화와 중부 유럽 자동차 생산증가

다. 다국적 자동차기업의 중부 유럽 공장현황 및 자동차 생산현황

3. 주요 자동차 제조사별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가. 피아트 그룹의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나. 르노 그룹의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다. 현대기아차 그룹의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라. GM 그룹의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마. PSA 그룹의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바. 토요타 그룹의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사. 폭스바겐 그룹의 생산기지 운영현황과 중부 유럽

4. 소결: 중부 유럽 생산기지 이전과 한국기업에 주는 함의

제6장 유럽 통합과 중부 유럽 4개국, 그리고 한국

1. ‘하나의 유럽’과 중부 유럽 4개국

2. 비세그라드 그룹 4개국과 한국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