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에콰도르의 주요 산업_플랜트 건설, 자동차

  • 10
커버이미지 없음

에콰도르는 GDP 기준으로 볼 때 중남미지역 8위에 해당하는 경제소국이지만 석유, 금, 은, 동 등의 천연자원과 생물자원이 풍부한 자원보유국이다. 비록 2007년 집권한 코레아 정부가 좌파 성향의 경제 및 산업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무역과 투자 등에서는 개방정책을 지향하고 있다. 최근 에콰도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수출품인 석유의 국제가격 하락과 석유부문 투자 위축으로 2008년 말에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기도 했지만, 코레아 정부의 외채상환 주력과 신헌법에 기초한 국가 주도의 내부지향적 경제발전전략 추진을 바탕으로 정치적 안정과 빠른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에콰도르는 최근 10년간(2003~12년) 중남미지역의 평균 경제성장률(3.8%)을 상회하는 4.6%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2012년 말 주요 글로벌 금융기관인 HSBC에 의하여 2050년까지 5%대의 고성장을 달성할 전 세계 26개 국가에 선정되는 등 향후 발전잠재력에서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한국과 에콰도르는 1962년 수교 이후 우호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에콰도르의 정치 및 경제적 불안정과 상호 이해부족으로 긴밀한 경제협력관계를 구축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신시장 개척에 대한 한국 정부 및 기업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한국을 국가발전의 모범사례로 주목하는 에콰도르의 관심이 교차하면서 양국간 관계는 한층 발전 중이다. 이에 에콰도르 전반에 대한 정보 확보의 중요성이 동시에 제고되고 있는바, 그 일환으로 본 연구는 유망 산업으로 선정한 에콰도르의 플랜트 건설산업과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양국간 협력 및 진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제1장 서론

제2장 산업구조와 산업육성정책

1. 경제동향 및 전망

2. 산업구조의 특징

3. 주요 경제개발계획 및 산업육성정책

가. 국가개발계획

나. 주요 산업정책

4. 외국인직접투자

제3장 전력·정유·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산업

1. 산업 개황

가. 전력

나. 정유·석유화학

2. 주요 육성정책

가. 전력

나. 정유·석유화학

3.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 및 전략

4. 향후 성장 잠재력

가. 전력

나. 정유·석유화학

제4장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산업

1. 산업 개황

가. 산업구조 및 생산능력

나. 내수 현황

다. 교역 현황

2. 산업육성정책

가. 안데스 자동차협정

나. 자동차 수입 쿼터제

3.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과 국내기업 투자 계획

4. 에콰도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및 전망

제5장 에콰도르와의 산업협력 현황 및 진출 방안

1. 산업협력 현황 및 평가

가. 무역

나. 투자

다. 산업경쟁력 분석 및 산업협력 평가

라. 한국-에콰도르 산업협력 방안

2. 발전·정유·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산업 협력방향 및 진출방안

가. 한국의 진출 현황

나. 협력방향 및 진출방안

3. 자동차산업 협력방향 및 진출방안

가. 한국의 진출 현황

나. 협력방향 및 진출방안

참고문헌

부록 1. ‘경제정책아젠다 2011-2013’ 부문별 주요 목표 및 전략

부록 2. ‘생산변화아젠다 2011-2013’ 부문별 주요 정책

부록 3. 에콰도르 주요 기관별 연락처

부록 4. 에콰도르 주요 자동차 업체별 연락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