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의료사회사연구 제10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생충 길들이기

Domesticating Parasites: Korea-Japan Joint Filariasis Research Project

기생충학이 가지는 특징 중 하나는 학문적 발전과실천적 발전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기생충학은 국가 단위의 기생충 박멸 사업과 공동으로 성장해왔다. 기생충 박멸 사업을 추동한 것은 기생충학자들, 그리고 국제적 네트워크로 맺어진 민간단체 및 활동가들이었으며, 이를 통해 기생충학계는 풍부한 연구 자료와 자원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초기 기생충학자들은 기생충 관리 사업을 통해자원을 획득하고 학문적 성취를 얻는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실천적 활동과 학문적 활동이 분리되지 않고, 그 변화들이 본국에서의 경험 뿐 아니라 주변과의 교류 및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해왔다는 것은 기생충학과 기생충 박멸 사업을 한국이라는 일국적 경계 내에서 보는 것 이상의 분석을 요구한다. 제주도 한일 사상충 공동 연구 사업을 통해 지역적으로 생산된 지식들이 어떻게 초국적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공간에서 재현되며, 나아가 국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는지 살피고자 한다. 제주도라는 독특한 지리적 공간은 일본 기생충학자들 뿐 아니라 한국 기생충학자들에게도 외국과 같은 공간이었으며, 동시에 말레이사상충이라는 낯선 기생충과 조우할 수 있는 장이기도 했다. 또한 연구의 적극적인 참여자였던 지역 주민들의 역할을 통해 현장에서의 지식이 초국적인 것으로 위치 지어지는 과정을 살핀다. 이 과정을 통해모델 생물로 자리 잡은 사상충을 본래 이들이 존재하지 않던 일본과 미국으로 이주시켜 인간 뿐 아니라 기생충의 다층적인 초국적 이동이 가능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Study of parasite control was a product of transnational interactions among scientists, activists, public, technologies and tools, as well as ecological environments such as parasites in the geopolitical context.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revious historical analysis on public health programs, which was mainly looked at in a national context. Also,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practice of knowledge has been continuously transformed by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that occur across the borders, with a specific example of Korea-Japan Joint research project in Jeju from 1970 to 1972 on the control of lymphatic filariasis. Endemic Burgia Malayi filaria provided a unique opportunity for both Korean and Japanese parasitologists to secure a valuable study object as well as model organism.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about parasite control did not consist solely of research in a laboratory or university. Just as parasitologists continually engaged in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and built up the knowledge and skills involved, these activities aimed to be applied to and practiced by the general public. In the process where knowledge constructed in a laboratory meets an external environment, researchers modified the practice according to appropriate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in local field of study sites.

1. 머리말

2. “천연기념물” 말레이사상충

3. 일본 사상충 박멸 사업과 미일 의과학 협력 사업

4. 새로운 연구 공간으로서의 제주

5. 지역사회의 참여와 지식의 변화

6. 고양이 숙주 모델과 사상충의 이주

7.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