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중앙아시아 외국인투자의 특징과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최근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둘러싼 대내외적 정치ㆍ경제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외국기업들의 투자사례를 분석하는 것은 점차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외국인투자 환경이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 설립 절차가 복잡하고, 기업 운영이 불투명하며, 정부의 정책이 일관성을 갖지 못한 경우가 많은 편이다. 또한 도로나 철도, 항만 등 인프라 시설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여 인프라가 취약하기도 하다. 따라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차원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앙아시아 투자 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 연구로 외국기업의 중앙아시아 투자 특징을 분석하였다. 외국기업의 중앙아시아 투자 연구를 통해 한국기업의 향후 투자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발전으로 점차 서비스 부문이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시장 개방이 진전될 가능성이 높아서 그동안에 외국기업에 대해 투자가 제한되었던 서비스 부문이 개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한국기업들은 은행, 보험업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춘 업종에 진출할 수 있다. 또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사회 경제 발전에 필수적인 의료, 교육 서비스 부문이 취약하므로 이 부문에 대한 투자가 유망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사회 변동에 따라 노무관리가 점차로 서구적이며, 체계적인 형태를 갖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현지에 투자하는 한국기업은 인력 채용 과정을 공개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진행해야 할 것이며,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형태ㆍ방식 등에서도 제도와 규칙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노동조합의 기능과 역할도 현재보다는 점차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recent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in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recently been undergoing rapid change. Given the situation, the importance of analyses on cases of investment by foreign companies in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e investment climate of Central Asian countries is generally acknowledged to be inadequate. The procedures for establishing businesses are complex, business practices lack transparency in any sense, and government policies are inconsistent. Also, infrastructure is poor due to lack of investment for roads, railroads, and p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rough various analyses, to prepare diverse strategies for investment in Central Asian countrie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investment of foreign companies in Central Asian countries. We find several implications in this study for Korean companies concerning future strategies for investment in Central Asian countries. Firs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ervice sectors in Central Asian countries will expand from continued economic development. The progress toward greater openness in markets of Central Asian countries will also increase the possibility for opening of several service industries that are now closed to foreign investors. Therefore, competitive Korean companies will be able to enter the various service sectors like insurance and banking. In addition, there will also be much potential with respect to investment in fundamental service sectors like education and medicine, which are not strong in Central Asian countries. Seco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Central Asian countries will become more globalized and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s of these countries. Thus Korean companies that expect to invest in Central Asia would have to adopt a more transparent system of recruiting and incentive programs for employees, as roles and functions of labor unions in Central Asia will expand compared to present.…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제2장 외국기업의 중앙아시아 투자 현황

1. 외국기업 투자의 유형별 특징

가. 중앙아시아 투자의 개괄적 이해

나. 국별 주요 투자 유인 요소

다. 시기별 FDI 유입 특징

라. 투자 업종별 특징

2. 투자국별 특징

가. 러시아

나. 중국

다. 미국

라. 일본

마. EU

바. 기타

3. 한국기업 투자의 특징

가. 주요 투자대상국의 시기별 변화

나. 민관 협력의 극대화

다. 주요 분야별 투자 확대 전망

제3장 외국기업의 투자 형태 및 사례 연구

1. 외국기업의 투자 형태의 개괄적 이해

2.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투자 환경 및 정책 분석

3. 국가별 외국기업들의 투자 형태 및 사례 연구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스스탄

라. 투르크메니스탄

4. 사례 평가

제4장 외국기업의 노무관리 형태 연구

1. 노무관리 형태 연구의 배경

2. 근로자 고용

가. 구인 광고 형태

나. 근로자 채용시험 방법

다. 근로자 채용 비율

라. 외국인기업의 외국인 채용

3. 근로자 교육 및 승진

가. 근로자 교육

나. 승진

4. 중앙아시아 진출 외국기업의 임금 및 복리후생

가. 임금 수준

나. 복지 수준

다. 인센티브

라. 노동조합을 통한 근로자 권리 보호

마. 계약ㆍ해고

바. 기타

5. 중앙아시아 진출 외국기업의 노무관리 형태 평가

제5장 외국기업의 마케팅 전략

1. 마케팅 전략의 개념과 유형화 기준

가. 마케팅 전략의 개념

나. 마케팅 전략의 유형화 기준

2. 마케팅 전략별 특징과 전개과정

가. 글로벌 마케팅 전략

나. 글로벌 네트워크 전략

다. 글로벌 플랫폼 전략

라. 글로컬 마케팅 전략

마. 현지 밀착 마케팅 전략

3. 주요 산업별 외국기업의 마케팅 전략 비교

가. 천연자원

나. 유통 및 소비재 산업

다. 서비스 산업

라. 제조업

마. 마케팅 전략 유형별 성과와 교훈

제6장 한국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