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인도 양국에서의 국가이미지

  • 8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한국과 인도에서의 상호 이미지를 파악, 비교 분석하여 국가이미지 제고를 통한 양자 간 교류협력 확대 방안 등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조사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한국에서의 설문조사는 전국적으로 실시된 반면, 인도는 조사여건이 다르고 조사지역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북부, 동부, 서부, 남부의 4대 권역의 대표도시, 즉 델리(Dehli), 뭄바이(Mumbai), 콜카타(Kolkata), 첸나이(Chennai)에서 진행하였으며, 한국, 인도 각각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들을 일반적 경험, 인지도, 이미지, 양국 교류에 대한 평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도와 한국의 일반적 경험과 관련하여 인도 응답자와 한국 응답자 모두 상대국가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이었다. 특히 인도인의 경우 소득수준에 따라 인지도가 선형적으로 높아지고 있었으며, 한국을 처음 알게 된 계기로는 TV나 신문의 한국 관련 뉴스가 가장 높은 30.4%를 기록하여 언론 등 미디어 매체를 통한 접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한국 응답자의 경우 TV나 신문의 인도 관련 뉴스가 53.0%로 높은 편이었으나, 학교 교과서의 인도 관련 내용이 34.9%로 나타나 인도와 차이를 보였다. 양쪽 모두 서로의 대중문화를 통한 접촉비율은 5% 미만이었다. 그리고 한국 응답자와 달리, 인도 응답자는 한국제품의 사용을 통해 한국을 인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한국기업들의 인도 진출이 인도인의 한국 인지도 상승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접 방문경험에 있어서는 양국 응답자 모두 상대국가를 여행하거나 방문한 경험이 낮게 나타나고 있어, 상호 간에 아직 여행국가로서 선호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인도와 한국 응답자 모두 상대국가의 대중문화 중 영화를 경험한 사람이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응답자의 인도영화 경험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and analyze images of Korea and India as perceived by the other, and provide basic input for formulating policies to further enhance bilateral cooperation. To ensure that the study was implemented more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it was conducted using a well-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hile the survey was conducted nationwide in Korea, it was carried out in four metropolitan cities in Northern,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India respectively; i.e., Delhi, Mumbai, Kolkata, and Chennai. The sample size was 1,000 both in Korea and India. The main finding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both Indian and Korean respondents of the other country was considerably hig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dians, the level of awareness rises in a linear fashion in accordance with the income level. 30.4% of Indian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earned about Korea through TV and newspapers, thus ranking the mass media as their no. 1 source. The TV and the news media were also ranked high in the case of Korean respondents with 53%, followed by school textbooks at 34.9%. Notably, Korean products were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recognition value among Indian respondents, which shows that Korean companies play a major part in raising the awareness of Korea among Indians. …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1. 국가 이미지 정의와 구성내용

가. 국가 이미지

나. 선행연구 검토

다. 국가 이미지의 구성내용

라. 국가 이미지 분석을 위한 기본 틀

2. 주요 연구내용과 방법론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제3장 조사대상자의 특성

1. 인도 조사대상자의 특성

2. 한국 조사대상자의 특성

제4장 일반적 경험에 대한 비교

1. 양국에 대한 경험과 접촉 경로

가. 경험 비교

나. 접촉경로 비교

2. 양국에 대한 지식과 평가

가. 지식과 정보 비교

나. 평가 비교

제5장 한국과 인도에 대한 이미지

1. 한국과 인도에 대한 호감도

가. 조사대상자 특성별 한국과 인도에 대한 호감도

나. 조사대상자의 경험별 한국과 인도에 대한 호감도

다. 한국과 인도에서 다른 국가들에 대한 호감도

2. 한국과 인도 그리고 주변국가 국민성에 대한 견해

가. 정직성

나. 유능성

다. 약속 이행

라. 이기적 성향

3. 한국인과 인도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4. 한국과 인도 그리고 주변국가에 대한 신뢰도

가. 한국과 인도, 주변국가의 정부, 기업, 제품에 대한 신뢰도

나. 국가 간 비교를 통해 본 양 국가에 대한 호감도

다. 한국와 인도에서의 기업호감도

제6장 양국 간 교류에 대한 평가와 태도 1

1. 양국 간 교류에 대한 평가

2. 주변국가와 양국 교류 필요성에 대한 태도

가. 국가 간 비교를 통해 본 교류 필요성

나.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교류 필요성에 대한 태도

3. 한국과 인도의 교류에 대한 향후 전망

가. 국가 방문의향

나. 제품 구매의향

다. 정보 습득의향

제7장 결 론

1. 조사연구의 의의

2. 주요 발견

가. 국가 인지

나. 양국에 대한 지식과 정보 비교

다. 양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에 대한 견해 비교

라. 호감도

마. 사회적 거리감

바. 교류에 대한 평가

사. 향후 교류에 대한 의견

3.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