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이주배경 청소년의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 중국 출신 청소년을 중심으로

  • 25

한국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국내거주 외국인의 수가 해마다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11월 1일 기준, 국내 거주 외국인의 수가 1,861,084명으로 전체 인구의 3.6%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전라남도나 충청북도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이다(행정안전부, 2018). 이들 중 중국 출신이 709,728명으로 국내거주 외국인 수의 절반가량인 48%를 차지하고 있다(행정안전부, 2018).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 거주 경험이 있거나 외국에서 주로 성장한 자녀로 분류된 청소년들 중 중국계 부모 출신 자녀 비율이 55.7%(17,300여명)로 절반 이상의 비율을 보였다. 중국 출신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거주 중국 출신 청소년들의 성공적인 한국사회 정착을 통해, 첫째, 한국사회 통합에 기여하고, 둘째, 한국사회가 직면한 인구절벽현상에 대한 하나의 해결방안으로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셋째, 성공적인 역량개발을 통해 한·중 국가 간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미래 인적자원으로 성장토록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출신을 포함한 국내 거주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성공적인 한국 사회·문화 적응과 역량 개발 등 관련 정책방안 마련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진로, 교육, 한국어 등 주요 영역별 이주배경 청소년의 실태를 양적·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전국의 이주배경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주요 문항별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응답에 참여한 이주배경 청소년 응답자 수는 총 832명으로 그 중 중국 출신은 568명(조선족 412명; 비조선족 156명)이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출신 청소년들은 타 국가 출신 청소년들에 비해 한국사회에서 차별 경험 비율과 사회적 위축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중국 출신 청소년들은 타 국가 출신 청소년들 보다 자존감, 삶의 만족도, 자아정체감, 다문화수용성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본 연구의 성과

3.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 중국 출신 이주배경 청소년의 실태 파악

2) 중국 출신 이주배경 청소년을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

제2장 이론적 논의

1. 중국 출신 이주배경 청소년의 현황

2. 중국 출신 이주배경 청소년의 한국 사회적응 관련 요인

1) 한국어 실력

2) 가족상황에 대한 적응

3) 학교에 대한 적응

4) 아르바이트/일 경험

5) 진로

6) 사회적 인식

7) 건강

8) 매체이용

3. 중국 출신 이주배경 청소년 관련 정책현황

제3장 연구 방법

1. 문헌연구

2. 이주배경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

1) 이주배경 청소년 대상 설문지 개발 절차 및 설문조사 방법

2) 이주배경 청소년 대상 조사내용의 구성 및 문항

3. 청소년 및 보호자 대상 면접조사

4. 전문가 면담 및 의견조사

제4장 연구 결과

1. 설문조사 분석결과

1) 응답자 특성

2) 일/노동

3) 진로/진학

4) 가정환경

5) 입국 전 상황

6) 사회적 인식

7) 심리상태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

8) 매체 이용 실태

9) 한국에서의 삶

10) 교육(비재학생/학교밖청소년)

11) 교육(정규학교 재학생용)

12) 소결

2. 청소년 및 보호자 대상 면접조사 분석결과

1) 한국어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2) 변화된 가족상황에 대한 적응의 문제

3) 학교에 대한 적응의 두려움

4) 진로설정 및 준비의 문제

5) 한국친구 사귀기의 문제

6) 사회적 차별의 문제

7) 매체이용관련 문제

8) 정보지원의 중요성

9) 소결

3. 전문가 면담 및 의견조사 분석결과

1) 이주배경 청소년을 위한 현장 핵심사업의 현황

2) 한국어 교육

3)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4) 새로운 가족상황과 한국사회 문화적응

5) 체류신분(비자)

6) 소결

제5장 요약 및 제언

1. 연구의 요약

1) 설문조사 결과

2) 청소년 및 보호자 대상 면접조사 결과

3) 전문가 면담 및 의견조사 결과

2. 정책적 제언

1) 주요정보 접근성 제고 방안 마련 및 정보안내 플랫폼 마련

2) 이주배경 청소년에게 적합한 한국어 수준별 교재 개발

3) 일방적인 진로지원이 아닌 동기유발 필요

4)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장점을 살린 직종을 연구개발 및 매칭

5) 비자정책의 완화 : 체류비자에 우선하여 청소년기 건강권, 교육권을 보장하는 정책마련

6) 이주배경 청소년 특성에 맞는 상담척도와 상담전문가의 확보

7) 한국사회의 다문화수용성 제고

참고문헌

부 록(설문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