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젠더 관점에서 한·중 건강상태 비교 및 보건정책 개선 방안

  • 18

젠더적 관점의 건강 관련 이론들은 사회 환경, 사회 구조, 사회 내에서의 관계 및 개인 심리 등을 포함하는 광의적 개념의 변인들과 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논하고 있다. 사회에서 성별 사회적 관계(relation)로 구조화된 사회적 역할, 사회적 지위 및 권력 등이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 방법 등의 상이성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WHO, 2010).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젠더 관점에서 건강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중국 내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지역과 농촌 지역 등에서는 여성 교육에 대한 사회 불평등 요소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동 연구에서 향후 성별 교육 수준의 차이를 줄이는 방안이 결국 성별 건강상태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으나 여성건강정책의 필요성 지적은 결여 되어 있다(Zhang, 2015). 또한 한국은 성차별적인 제도 개선 및 양성평등한 사회로 많은 진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여성은 불평등한 사회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성별 간 사회적 지표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그러한 차이는 젠더적 관점의 건강불평등과 연계될 수 있다. 여성의 사회경제적 환경의 불리함은 사회심리적 측면 및 의료서비스의 질 등의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한다.…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해외 및 한·중 여성건강정책

1. 미국의 여성건강정책

가. 미국 보건복지부 내 여성건강 부서

나. 여성건강국 설립 배경 및 활동

2. 캐나다의 여성건강정책

가. 캐나다 보건부 내 여성건강 부서

나. 여성건강/젠더분석 분과 설립 배경 및 활동

3. 한국의 여성건강정책

가. 한국 보건복지부 내 여성건강 부서

나. 여성정책기본계획에서의 여성건강정책

4. 중국의 여성건강정책

가. 중국 보건부 내 여성건강 부서

나. 건강중국 2030 내 여성건강

5. 소결

제3장 한·중 성별 건강상태 비교 및 여성 건강상태 변화 분석

1. 한·중 성별 건강상태 비교 분석

가. 통계분석의 기초자료 및 비교방법

나. 한·중 성별 건강상태 비교

2. 성인 여성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와 사회적 환경

가. 분석 변인

나. 분석 방법

다. 분석 결과

3. 소결

제4장 중국 연변지역 여성과 한국 여성 건강상태 비교 및 심층 분석

1. 설문조사를 통한 중국 연변지역 여성건강과 한국 여성건강 비교

가. 조사 방법

나. 분석 결과

2.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 심층면접 분석

가. 연구 목적

나. 연구 방법

다. 연구 결과

3. 소결

제5장 결 론

1. 결어

2. 정책 시사점

가. 한·중 젠더 관점의 보건정책으로 보완 필요

나. 한·중 생애주기별 여성건강교육 및 여성건강증진 중요성 홍보강화

다. 한·중 젠더 관점의 정신건강증진 전략 방안 마련

라. 한·중 ‘여성문화공간’시설 설립 및 지원 방안 마련

마. 한·중 젠더 관점의 건강불평등 해소 방안 마련

바. 한·중 여성건강 전문가, 공무원, NGO 간 교류 증대 및 네트워킹 구축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설문지

부록 2. 건강상태 표

부록 3. 의료비 지출 분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