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중국 환발해지역 발전계획의 특성 및 도시경쟁력 분석연구

1979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지역발전전략은 주강삼각주와 창강삼각주의 동부연해지역을 우선 개발하는 불균형 거점개발전략에서, 1999년 서부대개발전략 수립을 기점으로 지역균형 개발전략으로 전환하였으며, 2006년부터는 동북진흥, 중부굴기, 동부우선발전의 지역균형 개발전략을 본격적으로 실시해오고 있다. 2007년 세계금융위기로 인해 수출위주의 중국경제가 침체위기에 처하게 되자, 12‧5계획에서부터 중국경제는 기존의 생산방식을 고효율‧저배출적 생산방식으로의 전환을 통하여 내수확대를 기하고, ‘성장촉진’과 ‘민생개선’의 동시추구정책을 동부연해지역의 주도하에서 실시하였다. 동부연해지역은 중국을 지탱해주는 주요 핵심기능과 대부분의 경제력과 각종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는 가장 발전된 인구밀집지역이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동부연해지역은 중국전역의 10% 면적에 5억1천만명이 거주하는 인구밀집지역으로서, 중국의 도시군과 거대도시를 포함한 모든 경제력과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특히 환발해지역은 중국수도인 베이징시와 빈하이신구가 입지한 톈진시를 포함하고 있는 수도경제권과, 산둥반도 란써경제구 등 핵심기능과 주요산업이 밀집한 중국최대의 도시군들이 입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대한 우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가.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가. 연구 범위

나. 연구 방법

다.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라. 연구의 흐름

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중국 환발해지역의 지역발전계획 고찰 및 신형도시화 추진방향

1. 중국 환발해지역의 일반현황 분석

가. 중국 환발해지역 개요

나. 중국 환발해지역의 일반현황

2. 중국 환발해지역의 지역개발계획 고찰

가. 중국 전역의 지역발전정책 개관

나. 중국 환발해지역의 지역발전계획 고찰

3. 환발해지역의 신형도시화 추진방향

가. 국가 신형도시화계획 검토

나. 환발해지역의 신형도시화 추진방향

제3장 중국 환발해지역 발전계획의 부문별 특성 분석

1. 환발해지역 도시군의 발전특성 분석

가. 환발해지역 도시군의 발전특성

나. 환발해지역 도시군의 발전에 따른 문제점

다. 환발해지역 도시군의 추세전망

2. 환발해지역 공간구조의 특성 분석

가. 환발해지역 공간구조의 특성

나. 환발해지역 공간구조의 문제점

다. 환발해지역 공간구조의 추세 전망

3. 환발해지역 산업발전의 특성 분석

가. 환발해지역 산업발전의 특성

나. 환발해지역 산업발전의 문제점 분석

다. 환발해지역 산업발전의 추세 전망

4. 환발해지역 교통‧물류의 특성 분석

가. 환발해지역 교통‧물류의 특성

나. 환발해지역 교통‧물류의 문제점

다. 환발해지역 교통‧물류의 추세 전망

제4장 중국 환발해지역의 도시경쟁력 분석

1. 수도권 및 산둥성 도시들의 경제발전 양상

가. 환발해지역 도시의 인구증가율과 경제성장률과의 관계

나. 환발해지역 도시군별 인구성장율과 경제성장률과의 관계

2. 중국 환발해지역의 도시별 경쟁력 분석

가. 분석방법

나. 수도권과 산둥성의 도시경쟁력 분석

3. 도시별 생산거점 및 소비거점으로서의 매력도 분석

가. 도시별 생산거점 매력도

나. 도시별 소비거점 매력도

제5장 우리의 대응전략

1. 환발해 도시군 부문

가. 환발해 도시군 부문의 시사점

나. 환발해 도시군 부문에 있어서의 대응전략

2. 공간구조 부문

가. 공간구조 부문의 시사점

나. 공간구조 부문의 대응전략

3. 산업발전 부문

가. 산업발전 부문의 시사점

나. 산업발전 부문의 대응전략

4. 교통‧물류 부문

가. 교통‧물류 부문의 시사점

나. 교통‧물류 부문의 대응전략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