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중국 조선족 청년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 연구

  • 11

조선족 청년들이 이주와 취업을 통해 산업화된 중국 사회에 다양하게 진출하고 있으나 그 모습은 서열화된 대학의 순위에 따라 졸업 후 노동시장 진출이 계층화되고 있다. 조선족 청년들은 졸업한 대학의 순위, 전공, 경력 등에 따라 해외유학, 중국의 공무원, 국유기업, 다국적 기업, 한국기업, 중국대기업, 공공사업 단위, 한국의 중소기업, 자영업, 한국이주 등 다양하게 진출된 가운데 월급수준이나 대우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1.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의 한계와 전망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에서 특별히 눈에 두드러진 현상이 조선족 청년들의 다수가 한국기업에 취업해 왔다는 사실이다. 대학 졸업뒤 대도시나 연해 도시에서 직장을 구하는 조선족 청년들의 구직수요와 한국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하면서 구인수요가 맞아 떨어져 상호의존적인 공생협력관계를 이루었고, 한국기업들은 조선족 청년들의 다양한 도움으로 시행착오에 따르는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중국에 비교적 빠르게 안착할 수 있었다. 당시에 막 창업했던 중국기업들은 대기업이라고 해도 월급 수준이 낮은 편이었고 조선족 청년들에게는 중국에 투자를 시작한 한국기업들이 중국기업들보다 월급 등 대우가 더 좋다는 점에서 매력적일 뿐 아니라 조선족들이 사무직, 전문직 인력공급의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한국기업들이 들어선 곳에서는 각종 자재, 원료, 중간재, 각종 비품 그리고 식재료 등을 공급하는 작은 기업들이나 자영업을 조선족들이 성장할 수 있었다. 이민이론에 의거하면, 중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과 조선족 신집거지역와 한국인 집거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족 청년들과 한국인 주재원들이 함께 일하는 인종적 고용집중처(ethnic employment enclaves)와 신집거지(new ethnic enclaves)가 만들어졌다. 그런데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조선족 청년들과 한국인 주재원들의 고용집중처에는 한족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조선족 청년들과 한국인 주재원들이 함께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민족 고용집중처라고 할 수 있다.…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 검토와 이론적 설명틀

가. 중국 노동시장, 특히 중국의 청년노동시장에 관한 기존 연구

나. 중국 조선족 동포, 특히 조선족 청년에 관한 기존 연구

다. 이민과 소수 인종의 사회통합에 관한 기존 이론 검토

나. 조선족 청년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

3.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가. 연구방법

나. 연구대상

다. 면담대상자

라. 면담대상자의 특성

❙제2장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교육과 노동시장 진출

1. 중국의 산업화와 노동시장 변화

가. 중국의 산업화와 산업별 고용의 변화

나. 중국의 노동시장 개혁

다. 도시로 대량이주한 중국의 농민공

라. 대졸자들의 노동시장

2. 조선족의 대량 이주와 조선족 청년들의 교육

가. 중국 조선족 집거지역 인구의 감소 및 인구구성의 심각성

나. 중국 도시로의 대량 이주

다. 노무제공목적의 한국으로의 대량 이주

라. 중국 조선족의 해외 이주

마. 중국 조선족의 대량이주와 조선족 학교의 축소

바. 조선족들의 대량 이주를 반영하여

3. 조선족 청년들의 교육과 이주

가. 조선족 청년들의 진학과 교육수준

나. 과거의 진학과 단조로운 노동시장 진출 형태

다. 조선족 청년들의 대학진학과 이주

4.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지역별 노동시장 진출의 다양성

가. 베이징(북경)

나. 상하이

다. 다롄(대련)

라. 칭따오(청도)

마. 센양(심양)

바. 연변

사. 장춘

5. 조선족 청년들의 대학 진학, 이주 및 취업경로

가. 학력별 대학진학에 따른 이주

나. 대학졸업 후 학력별, 학교순위별 노동시장 진출

6.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 형태와 유형

가.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분화와 계층성

나.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과 언어능력

다. 조선족 청년들에 대한 재중 한국기업 취업 수요의 변화

라.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후 취업과 생활환경

❙제3장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과 언어 및 문화

1. 언어적 능력, 언어적 동화와 다언어 구사능력

가. 언어적 능력과 언어적 동화(linguistic assimilation)

나. 조선족 청년들의 해외진출과 다언어 능력

2. 문화적 공유와 문화적 차이

가. 조선족 청년들의 한국문화 공유

나. 조선족 청년들과 한국주재원 간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

다. 한족과의 결혼 증가

❙제4장 요약과 결론 - 조선족 청년들의 장래 전망과 과제

1.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의 한계와 전망

가. 한국인과 조선족 청년들로 구성된 민족 고용집중처 형성

나. 한국기업과 조선족 청년들의 상호의존적 공생협력과 내부의 갈등

다. 조선족 선후배 세대 간의 기회의 차이

라. 한족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의 어려움

마.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 전망

2.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노동시장 진출 속 문화적 동화 vs 조선족 네트워크의 재구축

가. 조선족 청년들의 한족사회로의 문화적 동화

나. 인종적 고용집중처를 통한 정체성 유지

다. 조선족 청년들의 국제화 속 다원화된 분화

3. 조선족 미래세대의 민족교육 위기와 분절화된 동화

4. 중국 내 도시 조선족 공동체의 전망

5. 조선족 동포 정책에 주는 함의

6.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