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다중언어적 요소 접근에 기반한 철자 교수가 중학교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철자 성취도와 철자 오류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elling Instruction Based on Multilinguistic Approach on Spelling Achievement and Spelling Error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 6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0호.jpg

목적 본 연구는 다중언어적 요소 접근에 기반한 철자 교수가 중학교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철자 성취도와 철자 오류패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공립중학교에 재학 중인 쓰기 학습장애 학생 4명이었으며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중언어적 요소 접근에 기반한 철자 교수는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 표기처리 중심 철자 교수, 형태처리 중심 철자 교수를 통합하여 21개 단계로 구성하였다. 또 연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준, 변동성, 경향, 효과의 즉각성, 유사한 구간의 일관성, 중복(PND, NAP)에 대한 시각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철자 성취도의 경우, 학생별로 철자 성취도의 향상 정도는 달랐지만 모든 학생이 중재와 동시에 철자 성취도가 향상되었고 높은 철자 성취도는 유지 구간에서도 유지되었다. 철자 오류패턴(음운인식 관련 오류, 표기지식 관련 오류, 형태소인식 관련 오류)의 경우, 학생별로 철자 오류패턴의 감소 정도는 달랐지만 모든 학생에게서 철자 오류패턴이 감소하였고 즉각적인 중재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중재 효과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다중언어적 요소 접근에 기반한 철자 교수는 중학교 쓰기 학습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며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pelling instruction based on multilinguistic approach on spelling achievement and spelling error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four 1st grade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a public middle school.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nitored using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spelling instruction based on multilinguistic approach was consisted of 21 steps that integrated phonological-based spelling instruction, orthographic-based spelling instruction, and morphological- based spelling instruction.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s, visu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level, variability, trend, immediacy of the effect, consistency of data patterns across similar phases, and overlaps (PND, NAP). Results Although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each student's spelling achievement was different, all students immediately improved their spelling achievement when the intervention started. All students also maintained high spelling achievement in the maintenance phases. Although the degree of reduction of each student's spelling error pattern was different, the spelling error pattern of all students decreased and showed immediate intervention effects. Thes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lling instruction based on multilinguistic approach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and can be useful in the school.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