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역량 기반 융합체육수업 실천 방안 탐색

An Inquiry about How to Practice Convergent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Capabilities for Introducing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Educational Space in the Metaverse

  • 87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0호.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역량 기반 융합체육수업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메타버스 교육공간 활용 중심의 미래형 안전 및 생태체육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문헌연구, 질문지 조사, 심층 면담,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역량 기반 융합체육수업 실천에 관한 함의 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역량 기반 융합체육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중심의 미래형 안전교육’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역량 기반 융합체육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중심의 미래형 생태체육교육’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역량 기반 융합체육수업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메타버스 교육공간 활용 중심의 실천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미래형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학교체육현장과 교사에게 창의적, 혁신적 측면의 교수-학습 이론과 실제 사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의 미래세계시민 역량 함양을 기대할 수 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to practice convergent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capabilities for introducing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pecifically, it aims to suggest how to practice future safety and ecological phsyical education focusing on educational space in the metavers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and applie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ones, and literature reviews, questionnaire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meetings with experts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ase record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s. Results First, the suggestions for practicing convergent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capabilities in order to introduce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drawn. Second, how to practice ‘future safety education concentrating to utilize the metaverse’ for convergent physical education based on capabilities were suggested. Third, how to practice ‘future ecological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utilizing the metaverse’ for convergent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capabilities were also proposed. Conclusions The study’s results suggested how to practice convergent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capabilities for introducing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it suggests how to practice focusing on educational space in the metaverse and can offer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actual cases with creative and innovative perspectives to physical educational sites in schools and teacher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grow its learners’ capabilities as future global citizens with the potential as an important source for future studi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