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증언문학에서의 서사적 재현과 환상의 역능

Narrative Representations and the Power of Fantasy in Testimony Literature: Focused on Novels on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 119
문화와 융합 제44권 10호.jpg

지금까지 일본군 ‘위안부’를 재현한 소설을 비롯한 증언문학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리얼리즘의 미학에 기댄 측면이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 주목한 일본군 ‘위안부’ 소설들은 현실 모사와 같은 종래의 리얼리티 재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발표된 작품 중 주목할 만한 텍스트로 윤정모, 노라 옥자 켈러, 고혜정, 김숨의 소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증언문학으로서 일본군 ‘위안부’ 소설에서는 리얼리티를 확보하고 미학적 자율성을 담지하기 위해 ‘환상’ 의 기법이 쓰인다. 이 ‘환상’의 차용은 고통스런 현실을 증언하는 것이 ‘형용불가’하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역사적 고통의 재현에만 머물지 않는 이 소설들은 에코페미니즘적 관점에서 고통으로 인한 트라우마 즉 상처의 치유를 도모하고 생존을 위한 구원의 서사를 지향한다.

Previous research on testimony literature including novels that reproduce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has tended to rely on the aesthetics of conventional realism. The novels on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this study focuses on, however, reveal different aspects from the previous reproduction of reality like the imitation of reality.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s noteworthy texts out of the works that have been released up to now after the 1980’s, for instance, Yun Jeong-mo, Nora Okja Keller, Go Hye-jeong, and Kim Sum’s novels. The novels on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as testimony literature employ the technique of ‘fantasy’ in order to obtain reality and contain aesthetic autonomy in them. Also, such borrowing of ‘fantasy’ shows paradoxically that pain is indescribable. Moreover, those novels not just remaining in the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pain seek to heal trauma caused by pain from an ecofeminist perspective and pursue the narrative of salvation for the sake of survival.

1. 서론

2. 증언문학으로서의 일본군 ‘위안부’ 소설

3. 환상의 장치와 리얼리티의 재현

4. 에코페미니즘적 상상력과 미학적 치유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