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4권 10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설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육 연구

본고는 2021년도 H대학교에서 진행된 대전 서구 도안동 가새바위 전설을 활용한 ‘제9회 스토리텔링 경진대회’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어떻게 전설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기획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학생들은 <가새바위> 전설의 서사를 스토리텔링 콘텐츠로 재구성하는과정에서 모본인 원형 서사를 그대로 활용하거나, 인물/사건/배경을 현대화 혹은 새로운 요소의 추가및 구성의 변화를 통해 재구성하는 모습을 보인다. <가새바위> 전설의 주제는 서사 변조 과정에서 특정한 주제 요소에 초점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서사, 주제의 변조 양상은 장르나 매체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스토리텔링 교육 과정과 맥락을 같이 하며, 광고 혹은 게임과 같은 스토리텔링 기획 과정에서 재구성하려는 장르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하지만 이는 전설을 구성하는 지역성에 대한 간과와 주요 화소의 생략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원형 이야기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을 통해 원형이야기의 가치를 새로운 장르와 매체를 통해 살릴 수 있는 스토리텔링 교과-비교과 과정 설계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This paper studies about how student who have completed storytelling education plans storytelling content in the ‘9th Storytelling Contest’ using the legend of Gasaebawi(가새바위). First, student can use the original narrative as it is, or reconstruct the character/plot/background through modernization or adding new elements and changing the composition. And the theme of the legend of Gasaebawi(가새바위) is focused on a specific theme. These narrative and theme modulation patterns are due to the storytelling curriculum focused on genres and media. It was influenced by the genre trying to reconstruct in the process of storytelling. Therefore, this paper argues for the necessity of designing a storytelling curriculum that can revive the value of the original story.

1. 들어가며

2. <가새바위> 전설의 원자료와 스토리텔링 교육 현황과 요건

3. <가새바위> 전설의 서사 변조 양상과 효과

4. <가새바위> 전설의 주제 변조와 지역성 활용의 문제

5.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