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한국사회는 ‘사이버지옥’과 마주하고 있다. 각종 온라인 기반 성착취 사건 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상황에서 ‘N번방-디지털교도소-불법도박사이트’의 네트워 크가 형성되었고, 이와 겹쳐진 채로 활동하는 ‘악플러’와 ‘사이버렉카’가 무분별하게 사 람들을 희생량으로 삼아 주목을 끌어 이름을 얻고 돈을 번다. 이는 조직폭력배 문화의 세대교체와도 맞물려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사이버지옥이 열리게 된 정 치경제적 배경과 그 안에서 형성된 주체성의 문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사 야크 발렌시아의 ‘고어 자본주의’ 개념을 빌려 디지털 미디어 장에서 폭력이 부를 축적 하는 양식이 되는 시스템을 ‘디지털 고어 자본주의’라고 명명하고, 이를 통해 형성되는 남성성을 ‘고어 남성성’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이때 고어 남성성이란 발렌시아의 ‘엔 드리아고 주체’를 한국 상황에 맞게 전유한 개념으로 주변화된 남성성이 폭력을 정당 화하면서 자원으로 삼는 것을 지칭한다. 여기서 핵심은 폭력을 소비하는 소비자가 존 재한다는 점이며, 이런 소비자는 온라인 여성혐오 문화로부터 배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고어 남성성에 대한 대안으로 트랜스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를 소개한다.
In 2022, the cyber hell unfolds in South Korea. In a situation where the web hard cartel and welcome to video cases could not be properly resolved, a network of Nth Room Case-Digital Prison-Illegal Gambling Site was formed. Along with this, Hacklers and cybe-wreckers are indiscriminately making money by making sacrifices for people.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generational change of the gangster culture. This essay analyz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background that led to the opening of this ‘cyber hell’ and the problem of subjectivity formed therein. To this end, it borrows Sayak Valencia's concept of gore capitalism and names the system in which violence becomes a mode of accumulating wealth in the digital media field as digital gore capitalism, and the masculinity formed as Gore Masculinity. In this case, gore masculinity refers to the concept of appropriating the subject of Endriago in Valencia's assertion to fit the Korean situation, and it refers to the use of marginalized masculinity as a resource while justifying violence. The key here is that there are consumers who consume violence, and there is an online misogyny culture at the birth of such consumers. Finally, this paper introduces the discussion of Trans Feminism as an alternative ethics to gore masculinity.
1. 들어가는 말: 한국 사회의 지옥도와 디지털 미디어 상품
2. 디지털 고어 자본주의와 고어 남성성
3. 고어 남성성의 실천: 사이버렉카와 디지털 여성살해
4. 고어 남성성의 변명: ‘남성-약자’ 서사와 ‘약자-남성’의 정치세력화
5. 결론: 트랜스 페미니즘의 비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