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려동물 동행 입장에 대한 인식도 조사
국내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박수정(Park, Soojeong) 김영규(Kim, Youngkyu)
- 대한관광경영학회
- 관광연구
- 제37권 제7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10
- 91 - 105 (15 pages)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동행한 여가 활동에 대한 문의와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 출입에 따른 공원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학술 연구 논문 및 참고 문헌 등을 조사하고, 국립공원 탐방객 수가 많고 반려동물 단속 건수가 많은 국내 국립공원을 선정하여 반려인과 비반려인들의 제도 공감·인식 정도에 대한 현장 설문조사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국내 반려동물 동행 여가활동에 대한 재고와 트랜드 파악으로 관련 분야의 연구활성화 및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해외 선진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반려동물 친화정책에 대한 이해와 제도화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국립공원 이용객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실시로 서비스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As it shows stea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their enquiries and civil complaints regarding leasure activities with their companion animals in public areas in local and national parks where entry with animals are by law prohibitied especially in national parks. Therefore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identify possible effect on ecological system in a national park if entry of companion animals is considered. Thorough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ould take place followed by on site survey to visitors to national parks closed situated from highly populated areas as well as those national parks frequently in violation of law by visitors with companion animals. Suggestion from the resul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research on the trend of leasure activities with companion animals would soon be highlighted and developed to a further scale. Secondly, cases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are thoroughly reviewed and focused to check any possibility of adopting in our system. Thirdly, service quality toward visitors to a national park would be well customized and enhanced.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