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리터러시 연구 13권 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은유 분석(metaphor analysis)을 통한 예비 교사의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에 대한 인식 연구

본 연구는 은유 분석 방법을 통해 초등,중등 예비 교사의 듣기·말하기,읽기,쓰기등의 언어 활동에 대한 인식 양상을 분석하여 교사 교육 및 국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이에 사범대학 3~4학년 49명,교육대학교 2학년 93명,총 142 명 대학생이 응답한 총 397개의 은유문,이유문,경험문을 바탕으로 언어 활동에 대한인식을 조사하였다.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의 언어 활동에 대한 개인적 차원의 인식은‘자아와 삶(듣기·말하기)’,‘자아와 경험,정보와 지식(읽기)’,‘자아와 필자,기록 및 행위(쓰기)’로 나타났다.사회적 차원의 인식은 ‘관계와 소통(듣기·말하기)’ ‘삶과 실천(읽기)’,‘소통과 실천(쓰기)’으로 나타났다.언어와 사고 차원의 인식은 모두 동일한 범주명으로 나타났다.듣기·말하기는 사회적 차원에서,읽기,쓰기는 개인적 차원,언어와사고 차원에서 강하게 인식되고 있었다.언어 활동별 분석 결과,듣기·말하기는 초기지원이 필요한 활동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났으나,다른 언어 활동에 비해 의도적학습이 필요한 전략적 활동이라는 인식은 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읽기는 자아 성장을 위한 활동,개인의 삶과 성공을 위한 도구,고도의 사고력을 요하는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쓰기는 자아 인식이나 자아 객관화의 수단,쓰기 절차나 과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교사 (재)교육,국어과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이 연구는 예비 교사들의 경험에 바탕한 주체적 언어 활동 인식 연구라는 점,네 가지 언어 활동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by analyzing the perception patterns of primary and secondary pre-teachers' linguistic activities such as listening/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rough a metaphorical analysis method. Accordingly, the perception of language activity was investigated based on a total of 397 metaphors answered by 49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93 students in the 2nd year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a total of 142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dividual level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language activities were ‘self and life (listening and speaking)’, ‘self and experience, information and knowledge (reading)’, ‘self and writer, record and action (writing)’. appeared as Recognition at the social level was found to b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listening and speaking)’, ‘life and practice (reading)’, and ‘communication and practice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were strongly recognized at the social level, and reading and writing at the personal level, language and thinking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language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that listening and speaking was an activity that required initial support was strong, but the perception that it was a strategic activity requiring intentional learning compared to other language activities was not strong. Reading was perceived as an activity for self-growth, a tool for social life and success, and an activity requiring high-level thinking skills. Writing was perceived as a means of self-awareness or self-objectification, a writing procedure or task. Based on the analysis, implications for teacher(re)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anguage activit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e-teachers and a comprehensive study of language activity.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