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어에서 외래어 어근에 접사 ‘-되다,-당하다,-시키다’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동사들을 대상으로,외래어 어근의 품사 수용 양상과 외래어 어근 파생어의 제약 현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래어 어근의 품사 수용 양상은 원어의 품사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첫째,외래어 어근이 원어에서 ‘명사’인 경우로,파생 접사 ‘-되다/-당하다/-시키다’와 결합될 때에 품사의 변화 없이 그대로 수용되어 단어를 형성한다.둘째,외래어 어근이 원어에서 ‘동사’인 경우로,국어의 어휘 체계에 수용되면서 자립적으로 쓰이지 못하는 어근이 되는데,여기에 접사 ‘-되다/-당하다/-시키다’가 결합함으로써 동사로 파생된다.셋째,외래어 어근이 원어에서 ‘형용사’인 경우로,국어로 차용될 때에 자립성을 잃고 어근으로 수용된 후 ‘-되다/-당하다/-시키다’와 결합하여동사로 파생된다. 한편 외래어 어근 파생어의 제약 현상은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피동 접사와 사동 접사에 따른 의미 제약으로,‘-되다/-당하다’는 문장에서 논항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며 의미적으로[피동]의 의미를 부가하므로,선행 명사로요구되는 외래어는 접사와 결합하여 피동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태성이나 동작성을 나타내어야 한다.반면 ‘-시키다’는 문장에서 논항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며의미적으로[사동]의 의미를 부가하므로,선행 명사로 요구되는 외래어는 접사와 결합하여 사동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행위성을 나타내어야 한다.둘째,어근의 품사에 따른 결합 제약으로,외국어가 국어에 차용될 때 원어의 품사는 최대한 반영되는특징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ceptance pattern of the parts of speech of loanwords and the restrictions on the derived forms of the loanwords by targeting the verbs formed by combining the suffixes -doeda (되다) , -danghada (당하다), and -sikida (시키다) with the roots of loanwords in Korean. The pattern of acceptance of loanword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word’s part of speech in the source language. First, when loanwords are nouns in the original language, the word is derived by combining loan words with the derivation suffixes -doeda/-danghada/-sikida without changing the part of speech. Second, when loanwords are verbs in the source language, they are accepted as roots that cannot be used independently in Korean; verbs are derived from loanwords by combining the latter with the suffixes -doeda/-danghada/-sikida. Third, when loanwords are adjectives in the source language, they are accepted as roots that cannot be used independently in Korean. Verbs are then derived by combining these loanwords with the suffixes -doeda/-danghada/-sikida. On the other hand, restrictions on the derived forms of loanwords can be divided along two dimensions. First, there is a semantic restriction regarding the use of the passive and causative affixes: -doeda/-danghada functions to reduce the verb’s valency and semantically adds the meaning of [passive]; contrariwise, -sikida functions to increase the verb’s valency and adds the meaning of [causative] semantically. Second, there is a binding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part of speech of the root, such that the part of speech of the loanword in the source language is retained as much as possible.
1. 서론
2. 외래어 어근의 품사 수용 양상
3. 외래어 어근 파생어의 제약 현상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