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가족정책연구 제2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청년기 발달과업 성취, 자기돌봄 및 정신건강: 1인가구와 다인가구 및 성별 차이 분석

Developmental Tasks, Self-care, and Mental Health of Young Adults: Differences in Household Type and Gender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 청년들의 정신건강 및 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발달과업 성취와 자기돌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가구유형별,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해당 지역 청년 남녀 1인가구 및 다인가구 총 917명에 대해 온라인 조사업체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년기 발달과업 수행 여부에 있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연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1인가구 청년이 다인가구 청년에 비해 취업 및 경력개발과업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다. 자기돌봄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구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여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웰빙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적 웰빙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인가구에 비해 다인가구의 웰빙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또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감이 높았고 자살생각 경험 비율이 높았다. 우울감은 다인가구 청년의 경우 1인가구 청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청년 대상 프로그램과 사업 계획과 운영에 있어 성별, 가구유형에 따른 특화프로그램을 고려하되, 다인가구 청년이 더 취약할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변량 분석을 토대로 한 결과이므로 발달과업 성취와 청년 정신건강 간의 관련성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에서 다변량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evelopmental task achievement, self-care, and mental health of young adults by household type and gend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respondents were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Young adults living alone had a higher level of employment. Women were more likely to have romantic relationships compared to me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of self-care by gender, while young adults living alone exhibited a higher level of self-care. Men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well-being. Single-person households exhibited a higher level of well-being. Women were more depressed than men, and more women have experienced suicidal ideation compared to men. Young adults living alone showe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Programs need to be tailored in regard to gender and the type of household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young adults living with family of origin can be more vulnerable compared to the ones living alon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