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가족정책연구 제2권 제2호.jpg
학술저널

저소득 청년의 경제적 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경제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을 개인특성(자아존중감 , 그릿, 회복탄력성), 가족(가족지지, 가족부양부담), 진로 및 고용(진로행동, 고용 장벽, 고용 희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청년희망키움통장 참여자 패널 1차 조사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4세 이하인3 저소득 청년 680명 자료를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저소득 청년의 경제적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그릿이 낮을수록, 가족부양부담이 높을수록, 고용 희망과 고용 장벽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또한 가족부양부담, 자아존중감, 고용 장벽, 고용 희망, 그릿 순으로 경제적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저소득 청년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그들의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 확대 및 방안을 모색하는 데 실천적ㆍ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individual-related variables (self-esteem, grit, resilience), family-related variables (family support, family care giving-burden) and career and employment-related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barriers, employment prospects) are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distress of low-income young adults. We analyzed data of 680 young adults aged 19-34 from the panel study of the Hope Growing Account Program for Young Adults conducted in 2019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We found that the economic distress of low-income young adults was higher when self-esteem and grit were lower and when family caregiving burden, employment barriers, and employment prospects were higher. The factors leading to economic distress can be listed in the order of family caregiving burden, self-esteem, employment barriers, employment prospects, and gr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ansion of youth policy support is critical for helping low-income young adults relieve their economic distress and difficulties.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