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Vol.5 No. 2.jpg
학술저널

만성 두드러기의 기능의학적 치료

두드러기는 피부 팽창과 발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유병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6주 이상)으로 구분한다. 만성 두드러기의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를 CSU라 하며 CSU의 50%는 자가면역 기전에 의해 발생된다. CSU 치료는 유발인자 제거 및 악화요인 회피, 약물 치료로 항히스타민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omalizumab, cyclosporine 및 급성 악화 시 스테로이드가 처방된다. 그 외 대체 치료로 자가면역 질환과 류마티스 질환에 사용하는 약제가 처방된다. 장관 점막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나타나는 임상 증상을 새는 장 증후군이라고 하며 관 내에 있던 음식물 항원, 병원균과 이들의 부산물, 독소 등이 혈류로 유입되어 인체의 면역체계를 자극함으로써 각종 급·만성 감염성 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 등의 병태생리에 영향을 주거나 만성 두드러기 등 기존의 질환이 악화될 수도 있다. 히스타민 대사 장애로 인한 히스타민 증후군도 CSU 악화에 기여할 수 있다. IgE 뿐만 아니라 food IgG 검사를 통한 식이제한도 장과 피부 관련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CSU의 50%는 1년 내 호전되고, 80%가 5년 내 호전된다. 유병 기간이 장기적이고, self-limited disease로서 개선되는 경우가 많기에 감염과 더불어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시키면서 체내 반감기가 긴 중금속과 POPs가 CSU의 유발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금속과 POPs가 enterohepatic recirculation되는 것을 차단하는 치료도 고려될 수 있다. 기능의학의 7개 주요 임상적 불균형(assimilation, structural integrity, communication, transport, biotransformation & elimination, energy, defense & repair)을 고려하여 CSU에 대해 보다 근본적이고 통합적인 치료가 실현되길 기대한다.

Urticaria is a disease that causes recurrent hives and wheals, and is classified into acute and chronic (6 weeks or longer)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disease. If the cause of chronic urticaria is unknown, it is called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CSU), and 50% of CSU is caused by an autoimmune mechanism. CSU treatment removes triggers and avoids exacerbating factors. Medications include antihistamines,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omalizumab, cyclosporine. In case of acute exacerbation, steroids are prescrib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drugs for autoimmune diseases are used. We hope that a more fundamental and integrated functional medicinal treatment will be realized through access to and management of 7 major clinical imbalances in functional medicine, including heavy metals, persistant organic pollutants, infections, intestinal microbiomes abnormalities, and food hypersensitivities (food immunoglobulin E & immunoglobulin G test) as triggers of CSU.

서론

본론

결론

로딩중